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비하인드 뉴스] 서른, 잔치는 끝났다?…이상돈 발언 논란

입력 2016-06-15 22:23 수정 2016-06-15 23:2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 비하인드 뉴스 > 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오늘(15일)의 마지막 순서죠.

첫 번째 키워드로 시작하죠, 이성대 기자.



[기자]

첫 번째 키워드 보시죠. '서른, 잔치는 끝났다'라고 잡아봤습니다.

국민의당 이상돈 최고위원이 김수민 의원의 리베이트 의혹을 설명하면서 30대 청년 비하 발언 논란에 휩싸였는데요.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30대 청년들은 정치권에 들어오는 건 적절치가 않다. 인생이 기니까 30대는 자기 분야에서 일하는 게 옳다"라고 얘기했는데요.

'더 나이 들어서 정치를 하라'는 뜻으로 해석이 되는 겁니다.

[앵커]

본 뜻은 어땠는지 모르겠는데 아무튼 얘기 자체로만 놓고 본다면 논란이 생길 법 하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당장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25살 이상은 누구나 국회의원 선거에 나설 수 있기 때문에 30살 이상이 국회 진출하는 건 법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실제로 보시는 것처럼 이해찬 의원 지금 60대지만 35세, 또 김민석 전 의원, 임종석 전 의원, 김희정 전 의원들이 다 30대 초반에 국회에 들어오면서 이름을 알렸습니다.

무엇보다도 YS 김영삼 전 대통령, 역대 최연소인 26세에 등원했던 기록이 있습니다.

만약에 이상돈 위원의 말대로라면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이 유명한 말은 아마 탄생하지 못했을 수도 있는 겁니다.

그러자 이상돈 위원의 발언에 대해서 여기저기서 '의원님이나 잘 하세요' 또는 '상당히 반민주적인 발언이다' 이런 식의 비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키워드 바꿔야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서른, 잔치는 시작이다' 이렇게 바꾸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상돈 위원 본인은 뭐라고 얘기를 합니까?

[기자]

직접 통화를 해봤더니 "청년비례제도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이 자체를 비판하려고 했던 거지 청년의 정치참여를 막겠다는 뜻은 아니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면 '제도를 개선하자'라고 발언을 했어야 되는데 '30대 정치 참여하지 말라'는 식으로 발언을 덧붙이면서 좀 엉뚱한 해법을 내놓았다는 지적인데요.

마치 '세월호 당시에 해경이 잘못했으니까 해경을 해체하라는 것과 비슷하다'는 반응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아무튼 과거의 30대와 지금의 30대를 단순 비교하는 것이 무리다. 왜냐하면 이제는 '백세시대'라고까지 얘기하니까… 그래서 인식도 좀 바꿔야 된다라는 것은 틀림없는 얘기 같습니다.

[기자]

일각에서는 그런 지적 나오고 있는데요.

사실 30대들 지금 청년실업자들 많죠. 사실상 요즘 취업이 안 돼서 인터넷만 하고 있는 팟캐스트만 즐기는 백수, '팟수'라는 용어까지 새로 생기기도 했는데요.

이렇게 사회생활에 대한 시작 연령이 늦어지다 보니까 정치를 30대가 진입하는 것도 빠르다는 말, 일리 있다는 분석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국민의당을 포함한 야권에서는 '선거 연령을 18세로 낮추자'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따지고 보니까. 선거 참여 연령은 낮추자고 하면서 이렇게 얘기하는 것은 좀 모순이다. 두번째 키워드는요?

[기자]

두번째 키워드입니다. '갑질도 가지가지'라고 정해 봤는데요.

박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에 동행한 미래창조과학부의 한 사무관이 산하기관 직원에게 '고등학생 아들의 영어숙제를 대신해 달라'고 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앵커]

어떻게 된 얘기입니까?

[기자]

이제 고등학생 아들이 전화를 해서 "영어숙제를 좀 해 주세요"라고 했더니 이 아버지가 대신해서 본인이 했으면 상관이 없는데 산하기관 직원들에게 요구를 했다는 건데요.

이 때문에 직원들은 행사가 한참 진행 중인 일과 시간 중에 과연 누가 이 숙제를 대신 해야 되는지 간이회의를 열었다고 하고 결국에는 외국대학 졸업자가 총대를 맸다고 합니다.

[앵커]

그런가요?

[기자]

미래부는 현재 이 문제에 대해서 감수에 착수하고 있는데요. 요즘은 군사단장 당번병도 이런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럴까요. 그건 모르겠습니다. 없기를 바라야죠. 알겠습니다. 미래부는 그런데 국회 미방위, 좀 길어서 줄여서 '미방위'라고 하는데요. 미방위 소관입니다. 미방위가 전문적으로 구성돼서 이런 공무원 갑질 좀 잘 살펴야겠다는 생각도 들고… 다음 키워드는 뭡니까?

[기자]

마지막 키워드 보겠습니다. '대통령의 7시간은 나중에 합시다'라는 게 바로 김영춘 더민주 농해수 위원장의 발언인데요.

이 세월호 참사 관련해서 "대통령의 7시간 문제를 나중에 조사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앵커]

좀 미루자?

[기자]

그렇습니다. 이 문제는 그동안 특조위 활동의 첨예한 쟁점 중에 하나였는데 이달 말로 특조위의 활동 시한이 만료되는 만큼 "정부 여당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어떤 돌파구가 있어야 한다는 개념에서 주장을 했다"고 합니다.

[앵커]

그러면 정부 여당이 조건을 받는다고 하나요?

[기자]

김영춘 의원하고 통화를 해 봤더니 "지금 여당이 받는다는 보장은 없다만 여소야대 국면이라서 정부 여당이 마냥 버티기는 힘들 거다"라고 지금 보고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말씀드린 것처럼 '기존 입장이 변한 게 없고 오히려 야권에서는 이 7시간 문제를 너무 쉽게 포기하는 거 아니냐'라는 우려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 비하인드 뉴스 > 진행했습니다. 이성대 기자, 잘 들었습니다.

관련기사

[비하인드 뉴스] 김태흠 의원 "저라고 안 했습니다" [비하인드 뉴스] "저 여기 있어요" 국회 개원식 풍경 [비하인드뉴스] '어디가 명당일까' 부친 묘 이장한 김무성 [비하인드 뉴스] 반기문 "언론, 지나치고 부당하다" [비하인드 뉴스] "패버리고 싶다" 살벌했던 새누리 의총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