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평등·공정' 이뤄질까…'블라인드 채용' 현황과 전망

입력 2017-06-22 21:01 수정 2017-06-23 00:5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블라인드 채용과 지방 할당제는 어떻게 시행하느냐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불러올 수도 있는데요, 취재기자와 한 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조택수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공무원들은 이미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까 상당 부분에서…그걸 공공부문에서 더 확대하겠다는 이런 뜻으로 보이는데. 일단 학벌이나 집안 배경을 배제한 채용을 하자는 취지로 보이는데, 현재 채용방식을 정리하죠.

[기자]

우선 공무원 선발시험, 즉 5,7,9급 공채 시험의 경우에는 이미 2005년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응시원서에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만 들어가고요, 면접에서도 이름과 수험번호만 면접관들에게 제공됩니다.

필기로 정원의 1.5배 이내를 뽑은 뒤 필기 점수는 사라지고 면접 점수로만 다시 뽑는 방식입니다.

[앵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거잖아요? 여기에 응시번호 그리고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도 안 적습니까 앞으로? (주민등록번호, 그 부분은 좀 더 확인을 해봐야 하는데요.) 왜냐면, 남녀 표시가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은 조금 더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사진은 안 붙입니까? (사진 부분도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일단 저희들이 낮에 듣기로는 주민등록번호와 사진도 배제될 가능성이 있다 왜냐면 그것은 외모 차별이나 남녀차별에 해당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게 아직까지는 정확하게 안 나온 모양이죠?

[기자]

네, 인사혁신처에서도 아직 구체적인 지침을 받거나 대책을 마련하게 아니고, 일단은 시행하겠다라는 얘기를 듣고 그 부분에 대해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주민번호나 사진까지 어떻게 할지 아직 구체적인 안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앵커]

대통령의 오늘 발언은 공무원 시험 방식을 공기업으로 확대하자, 이런 의미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공기업 등 다른 공공부문에서도 일부 도입한 곳도 있긴 하지만 공무원처럼 완전한 형태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한국전력의 경우에 입사 원서에는 학력사항을 적지만 이를 면접위원들에게는 제공하지 않고 면접을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앞으로는 처음부터 원서에서 이런 내용을 빼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지금까진 적 돼, 그걸 철을 해서 묶던가 해서 못 보게 만든다는 거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부분을 아예 가리거나 묶거나 하는 방식으로 면접관들이 알 수 없게 하는 방식입니다.

[앵커]

앞으로는 그걸 아예 쓰지 않게 하기 때문에 묶고 자시고 할 필요도 없이 면접관들이나 이런 사람들은 모른다, 체점관이나. 그런 얘기가 되겠죠. 그럼 공무원 선발에 적용되고 있는 블라인드 선발에 대해서는 어떤 평가가 나오고 있나요?

[기자]

지난 2015년에 한 연구원에서 블라인드 채용 방식으로 19명을 뽑았다고 합니다. 전통적인 선발 방식과 비교해 보니까 우선 허수지원이 상당히 사라지고 이전에는 일단 박사부터 뽑고 봤는데 석사급에서도 상당히 능력 있는 사람이 뽑혔다고 합니다.

(성과가 있다는 얘기죠) 그렇습니다. 지원자 입장에서도 학력 때문에 기회조차 없는 경우도 없어지고 불필요한 스펙 쌓기를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앵커]

근데 또 한쪽에서는 조사를 해봤더니 여전히 이른바 명문대 출신들이, 이렇게 했는데도 대부분을 차지하더라…이런 얘기도 나오긴 나오더군요.

[기자]

그럴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결국 현재 구조가 시험 잘 보는 사람이 유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니까요.

인사혁신처는 여기에 대해서 저희가 직접 질문을 해봤는데 선발 이후 결과를 예단하고 어떤 조치나 대책을 만드는 것도 또다른 차별이될 수 있다…그러면서 중요한 건 지역 출신을 많이 뽑겠다는 게 아니라 학벌이나 배경 때문에 서류전형에서 배제돼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그동안의 불공정 관행을 제거하는 게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라는 겁니다.

[앵커]

사실 그런 얘기도 있죠. 이렇게 다 블라인드로 해서 뽑아도 결국엔 이른바 명문대 출신이 들어올 수밖에 없는 사회적 구조. 그러니깐 경제력 차이가 결국은 교육의 차이로 전의가 되고, 그렇게 함으로서 시험 잘 보는 사람들을 잘 만들어 내는 경제 사회적 구조. 이런 문제 때문에 결국은 큰 변화가 없을 거라고 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나타나는 결과를 보면 좋은 성과가 나온 것도 있기 때문에 이건 짧게 볼 것이 아니라 길게 봐야 한다는 의견도 물론 있습니다.

또 한가지가 30% 지역할당제, 사실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는 이 부분이 굉장히 논란이 되고 있는 거 같은데…이 부분은 어떻습니까?

[기자]

블라인드 채용과 지역할당제는 두 개의 다른 선발 경로로 봐야 하는데요.

말씀드린 것처럼 블라인드 채용은 선발에 어떤 선입견도 배제해서 사람을 뽑겠다는 것이고, 지역할당제는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전제하에 예를 들면 어떤 혁신 도시가 생겨서 그곳에 어떤 공공기관이 들어섰다면 그 지역 출신에, 또 대학을 나오거나 그 지역에서 고등학교를 나온 지원자들을 뽑겠다 이런 방식인 겁니다.

[앵커]

그래서 일부 역차별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하면서 별도로 지역할당제까지 시행한다면 굳이 힘들게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갈 필요가 있겠냐는 불만이 많습니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지역 출신들이 굳이 서울까지 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기 때문에 각 지역의 대학들이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앵커]

그 다음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에서 선도해 민간으로 확대해보자는 것으로 보이는데, 민간에서 이걸 어는 정도 잘 받아들일 수 있냐 하는 문제가 남죠.

[기자]

사실 공무원 선발은 처음에 필기시험을 통해 많은 사람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런 방식이 가능합니다.

민간 기업들은 필기가 아닌 서류 전형이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데요,

그런데 말씀드린 것처럼 서류전형에서 학력을 적는 란이 있기 때문에 학벌과 스펙을 보고 뽑는다는 불만이 쌓이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어떤 직무에 어떤 사람을 뽑을지 먼저 분명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앵커]

한 가지만 더 궁금한 게 있어서 추가 질문 하겠습니다. 아까 그 이른바 지역 문제. 30% 할당제라든가 이런 것을 할 때 좀 상충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건 제가 잘 몰라서 하는 질문일 수도 있는데 모든 것을 적지않는다면…출신지나 이런걸 적지않는다면 그 사람이 지역 출신인지 아닌지 어떻게 압니까?

[기자]

그래서 그 부분도 확인을 해봤는데요. 아까 제가 말씀드릴 것처럼 두 개의 별도의 경로로 뽑는다고 말씀을 드리지 않았습니까? 지역 할당제의 경우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이 사람이 지역에 있는 대학, 또는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했는…그 부분은 물어보겠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지역 할당제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정보는 받아서 선발을 하겠다 이렇게 설명을 했습니다.

[앵커]

지역이냐 아니냐만 일단 갈라서 그다음에 절차를 진행하겠다 그런 얘기인가요? (그렇습니다.) 알겠습니다. 이거 좀 보안해야 될 부분들은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 처음 나온 얘기니까.

관련기사

문 대통령, 공공부문 채용에 '스펙 없는 이력서' 지시 취업준비생들 반응은…"공정 기회" vs "역차별 우려" 취업준비자 70만 '사상 최대'…나쁜 일자리 양산 우려 신입 뽑는데 경력 쌓아오라니…청년들 구직난 '부채질'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