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중증도'에 맞는 치료 체계 마련…정부 대책 핵심은?

입력 2020-03-01 18:24 수정 2020-03-01 20:1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조금 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발표 내용을 바로 취재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박유미 기자가 나와있습니다. 박 기자, 지금 아직 브리핑은 진행 중인 것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 장관 발표 이후에 어쨌든 질의응답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앵커]

조금 전 정부 발표 내용을 정리를 해보면, 크게 두 가지인 것 같아요. 입원과 퇴원 기준을 모두 완화시키겠다. 모두 병상 부족 문제로 치료를 제대로 못 받고 숨지는 환자를 막겠다는 취지로 보이는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정리를 좀 해드리겠습니다.

오늘(1일) 발표 내용의 핵심은 중증도에 맞는 치료 체계로 개선 하겠다는 것입니다.

의료진으로 구성된 시도별 환자 관리반이 중증도를 일단 신속하게 분류를 하겠다는 것이고요.

격리가 일단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 들어가서 의료진이 상시 모니터링 하겠다고 했습니다.

생활치료센터라는 단어가 오늘 처음 등장을 한 것인데요.

일단 전세기를 통해 입국했던 우한 교민들이 머물던 시설 격리와 유사하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동안 전문가들이 권고한 경증 환자, 무증상자에 대한 시설 격리를 의미하는 것인데요.

각 지자체는 그리고 중증도에 맞는 치료체계를 갖추도록 중앙 정부에서 지원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일단 이 생활치료센터 관련해서는 전국 각지의 국공립 운영 시설이나 민간 숙박시설들을 확보하겠다고 했습니다.

우선적으로 대구부터 운영이 됩니다.

당장 내일부터는 대구에 있는 중앙교육연수원이 경북대병원에서 관리를 하는 가운데 생활치료센터로 운영되게 됩니다.

또 중증환자를 위한 병상도 확보하고 있는데요.

일단 서울대병원, 신촌 세브란스 병원 등 이른바 빅5라고 불리는 국내 최정상급의 병원이 의료관리를 맡아주기로 하고 협력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그 내용들이 대부분 일찌감치 전문가들이 다 권고를 한 거잖아요. 방금 말한 대로 경증환자의 경우에는 시설에 격리를 하겠다는 건데 이건 좀 입원과는 좀 어떻게 다른지도 자세히 좀 설명해 주시죠.

[기자]

일단은 제가 우한에서 입국한 교민들이 머물던 시설을 언급을 했는데, 어쨌든 의료진이 함께 머물면서 관리를 하겠다는 겁니다.

앞서 13번째, 14번째 사망자의 경우처럼 고령이나 기저질환이 있는데도 자가격리 상태에 있다가 중증으로 발전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상황을 막겠다는 겁니다.

어쨌든 지금 박능후 장관의 얘기는 앞으로 1~2주가 중대 분수령이기 때문에 더더욱 또 치료체계가 원활히 작동 안 하는 문제는 사망률과도 연관이 있어서 이 부분은 집중적으로 개선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그리고 또 퇴원도 한번 살펴보죠. 역시 기준이 완화됐죠?

[기자]

일단은 입원치료 중에 호전이 되면 좀 경과를 관찰한 뒤에 격리해제를 하게 되는데 25번 환자처럼 퇴원 후에 다시 발병하는 사례 때문에 이런 지침이 나왔습니다.

현재까지는 격리해제가 되기 전에 24시간 간격으로 두 번 정도 검사를 하게 됩니다.

바이러스가 어쨌든 나오지 않고 음성으로 확인이 되면 그동안은 퇴원을 했는데, 이러한 원칙은 유지를 합니다.

다만 퇴원 후에 앞서 언급한 생활치료센터에서 머물면서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일단은 경과를 관찰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그렇게 좀 임상적인 증상이 호전된 경우에는 바로 병원이 아닌 생활치료센터로 옮겨서 경과를 지켜보겠다. 그렇게 하면 그 병상을 좀 중증환자들에게 줄 수 있다 이런 취지로 보이네요. 알겠습니다. 그러면 여기까지 잠시 듣고요.

관련기사

376명 추가 확진 총 3526명…18번째 사망자, 뇌경색 등 질환 대구·경북 확진자 3000명 넘어서…생후 45일 아기도 확진 경북 '생후 45일' 아기 확진 판정…아빠가 신천지 교인 발병 40일 만에 3천명 넘었다…"확진자 더 늘어날 것" 병상 기다리다…대구서 자가격리 중 사망자 잇따라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