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팩트체크] 포털 뉴스 '편향성 논란'…사실일까

입력 2015-09-08 22:1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번 국정감사에서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 사이트의 CEO를 증인으로 부르는 문제가 쟁점이 됐는데 이 문제를 촉발시킨 게 바로 이 보고서입니다. 여당에서는 포털이 자신들에게 불리한 기사를 올려왔다는 증거가 나타났다며 공격하고 있고, 야당에서는 근거 없는 이야기라며 맞서고 있습니다. 오늘(8일) 팩트체크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김필규 기자, 보고서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볼까요?

[기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최형우 교수팀이 진행한 건데,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동안 두 포털 모바일뉴스에 오른 기사 5만여 건을 분석했습니다.

이 기사들 중 23%가 부정적인 표현의 제목을 달고 나갔는데, 최 교수팀이 분석한 결과 이 중 정부·여당을 대상으로 한 게 1천여 건이고 야당을 대상으로 한 게 147건, 그러니 7대 1 정도로 정부여당을 향한 부정적 기사가 더 많았다는 겁니다.

또 이 기간 김무성, 문재인 두 당 대표의 등장 빈도를 보니 문 대표가 더 많았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여당이 반발하는 건가요?

[기자]

이 연구는 새누리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에서 발주한 건데, 이곳 부원장으로 내정된 이재영 의원이 어제 라디오 인터뷰에서 "네이버나 다음이나 전체적으로 편향적이었는데, 이건 새누리당 의견이 아니라 한국 언론학계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분들의 의견이다"라면서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겁니다.

[앵커]

그런데 어떻게 조사를 했는지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일일이 기사를 다 본 겁니까?

[기자]

일단 제목을 보고서 긍정과 부정, 중립적인 기사를 나누는 방식이었는데요.

예를 들어 성완종 리스트 관련해 "돈 받은 쪽 지지 못 해"라는 제목의 기사는 정부여당에 부정적인 기사, '정동영, 야권분열 독박 무릅쓰고 출마 강행'은 야당에 부정적인 기사, '여야 '김영란법' 협상 급물살. 오늘 타결될까' 이런 것은 중립적인 기사로 분류된 겁니다.

제목만 보고 과연 긍정, 부정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겠느냐는 문제제기도 있었는데, 최 교수 측에선 석박사급 연구원들이 분류작업에 참여해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따라 진행했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아무튼 7대 1로 여당이 불리하다라고 아까 주장하지 않았습니까. 제목만 보고 했든, 어찌 됐든지 간에. 그래서 7대 1이라면 격차가 상당히 큰 것이기 때문에, 여당이 반발하는 것도 일리는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기자]

그런데 생각해볼 부분이 분류 자체를 ' 정부·여당 대 야당'으로 한 게 과연 적절하냐는 겁니다.

새누리당이 자신들에게 부정적이었다는 기사들을 보면 'KTX 수출길 막는 정부, 11년간 한 대도 못 팔았다'도 있고 '최신 핸드폰은 안 먹혀. 먹통 앱 방치하는 정부 3.0' 이런 정부를 비판하는 기사가 있고, 또, 4.3 사건과 관련 '박근혜 대통령 2년째 불참. 희생자 재심의 논란 탓?' 이런 청와대 비판 기사도 포함돼 있습니다.

반면 야당 카테고리에는 새정치연합과 정의당 정도만 있거든요. 그러니 이런 분류로 숫자를 비교하는 게 괜찮은 것인가 라는 지적이 있었던 거죠.

[앵커]

당대 당으로 비교하지 않고, 정부여당을 한몸으로 보고 했다. 그런 얘기가 되잖아요. (맞습니다) 그렇다면 당대 당으로 하면 어떻습니까?

[기자]

여당과 야당으로만 비교하면 포털에서 다룬 건수 자체가 여당 쪽이 훨씬 많았는데, 제목에서 부정적인 표현을 쓴 사례를 비교해 보면, 네이버의 경우 여당 관련 기사가 23.3%, 야당이 23.4%로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다음도 마찬가지였는데, 그러니 이 부분에선 편향성이 발견되지 않았던 거죠.

[앵커]

결국 여당과 정부를 한몸으로 보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인데, 정부에 대한 비판은 사실 저널리즘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경우에도 일종의 권력에 대한 비판, 견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니까. 그걸 다 당과 같은 한몸으로 봐서 한데 뭉뚱그려서 계산할 순 없지 않느냐라는 반론이 나온다, 그런 얘기가 될 것 같고요.

또 하나 제기된 문제가 뭐냐 하면, 이것도 중요한 문제일 수 있는데, 생산된 기사량보다도, 포털이 그것을 옮겨서 뉴스를 포털에 싣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여당에 불리한 것을 더 많이 실었다, 이런 주장이 제기됐잖아요?

[기자]

그리고 불리한 것은 부각시키고, 야당에 유리한 것은 또 그것 나름대로 부각시킨 것 아니냐, 이런 주장이 나올 수 있었던 건데요.

그걸 알아내려면 전체 매체에서 나온 기사를 전수조사해야 해 쉬운 일은 아닙니다.

다만 앞서 보고서에서 양당 대표의 기사량과 관련해, 네이버의 경우 김무성 대표 기사가 45건, 문재인 대표의 경우 66건 기사 노출이 돼 편향됐다고 했었죠.

네이버에 확인해본 결과 이 기간 각 언론사에서 들어온 두 대표 관련 기사 자체가 17만 건 대 20만 건으로 문 대표 쪽이 더 많았습니다. 그러니 들어온 대로 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건데, 관련해 전문가 이야기 들어봤습니다.

[김춘식 교수/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언론이 정책의 문제를 제기한 거라면 그것은 비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고 언론의 기본적 역할을 수행한 것이라고 봐야 하는 거죠. 뉴스는 포털이 생산한 게 아니에요. (결국은) 배열의 책임을 이야기하는 건데, 정치뉴스로 제공받은 것을 분류해서 배열하는 것을 가지고 포털이 정치적으로 편향적이라고 하는 건 말이 안 되는 거예요.]

[앵커]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뉴스가 그만큼 포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게 사실이기 때문에, 매번 포털에 대한 논란이 생기는 것도 피할 수 없는 일이긴 하죠.

[기자]

그렇습니다. 조사 진행한 최형우 교수 역시 팩트체크와의 전화에서 "뉴스콘텐트 유통에 있어 포털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논의해보자는 취지에서 진행한 연구이지 이번 연구결과를 가지고 포털이 친 야당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

이처럼 선거 전후해 포털의 중립성 문제는 각자 입맛에 맞게 항상 제기돼 왔습니다.

뉴스 유통에 대한 문제를 바로잡는 것 분명 필요하겠지만, 자칫 비판의 목소리를 옥죄는 수단으로 쓰여선 안 된다는 지적입니다.

[앵커]

팩트체크 김필규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여 "포털사이트 공정·객관성 부족" vs 야 "길들이기" [여당] 선거 앞두고 포털 군기잡기?…'국감 증인' 추진 새누리 "포털 뉴스 콘텐트, 야권 편향"…문제 제기, 왜? 야, 포털 문제제기한 여에 발끈…"지금이 군부독재시절인가?" 국감 증인 공방…여 "포털 대표" vs 야 "대기업 총수" 새누리 이재영 "포털 정부·여당 부정기사, 야당보다 10배 많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