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확진자' 축소하기 바빴던 질병관리본부…'윗선' 압력?

입력 2016-07-07 20:57 수정 2016-07-07 22:4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 문제 취재기자와 한 걸음 더 들어가보겠습니다.

이승필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떻게 하다가 추가 확진자가 발견이 된 겁니까?

[기자]

방역당국은 메르스가 진정세를 보인 이후 백신 개발 같은 후속 작업을 하기 위해서 그동안 모아왔던 혈청을 가지고 검사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확진자로 분류되지 않았던 3명이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돼서 항체가 생성된 사실이 새롭게 확인이 되었습니다.

쉽게 얘기해 메르스 발생자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했다는 사실이 확인된 건데요, 이 시점은 지난해 12월 23일 정부가 메르스 종료 선언과 함께 각종 공식 데이터를 발표한 뒤였습니다.

[앵커]

자, 이 정도 사안이면 역시 관심이 가는 것은 질병관리본부 혼자서 판단할 문제는 아니지 않느냐 하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면 메르스가 그만큼 우리 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었고, 또 그 당시에 종료 선언이 나왔던 직후였단 말이죠. 그 때 새롭게 나온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할 것이냐 하고 의논을 했을 거 아닙니까?

[기자]

단적으로 지난해 메르스로 국내총생산 가운데 6조 원이 날아갔다는 통계가 나올 정도로 충격이 컸습니다.

그런데 확진자가 추가로 확인이 됐기 때문에 이 사안을 질병관리본부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그래서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증언이 이번 조사에 참여한 한 감염내과 교수를 통해서 나왔습니다.

[앵커]

그런데 감염내과 교수가 청와대에 보고하진 않았을 테고, 하려면 질병관리본부가 했어야 되는 거 아닙니까? 이 사람 말만 믿을 수 있냐는 거죠.

[기자]

일단 질병관리본부에서 최종 보고서가 지난 1월 말에 나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청와대의 OK 사인이 나오지 않아서 지금까지 그 결과를 공개를 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이 감염내과 교수가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로부터 여러 차례 들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는 "이건 청와대에 보고할 사안이 아니고 사실무근이다"라고 부인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이건 좀 더 취재를 통해서라던가 아니면 나중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발표하게 될 텐데, 그에 따른 검증 과정이 있어야 된다는 얘기가 되겠네요? 알겠습니다. 아무튼 여러 차례 그런 얘기가 들었다는 것은 그 교수로부터 직접 들었습니까?

[기자]

직접 들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는 사실을 반 년 가까이 발표를 안 하고 있었습니다. 이로 인한 문제점은 없나요?

[기자]

일단 메르스가 유행할 당시 밀접 접촉자 가운데 감염자를 찾아내지 못했다, 그런 방역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게 무증상 확진자가 메르스를 옮기는지 아닌지 여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요,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거든요.

따라서 확진자 3명에 대해서 주변 조사가 분명히 있어야 하는데 이 사실을 감추다보니까 아직 조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른바 역학조사를 못했다는 얘기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앵커]

하긴 뭐… 공개가 안 됐으니까 조사를 할 수가 없었을 거 아니에요. 조사를 하면 '뭐 또 있는가' 할 테니까 그래서 못했다는 얘기가 될테고…

[기자]

제대로 방역 사후 조치를 하지 않은 셈이 될 테죠.

또 이 무증상 감염자가 증상은 없지만 중요한 이유가 뭐냐면, 메르스 전파력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무증상 감염자수도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중요한 수치를 지금까지 감추고 있었던 겁니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 초기에도 정부가 틀어쥐고 공개하지 않아서 사태를 더 키웠는데, 이런 태도가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습니다.

[앵커]

무증상 확진자일 경우에, 증상이 지나간 것일 수도 있으니까… 그래서 감염을 다른 사람에게 시키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 질병관리본부에서 그렇게 얘기를 하겠죠. 전문가들도 그렇게 얘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니까. 그래서 심지어는 격리를 안 시켜도 된다고 하는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 얘기한 것처럼 무증상 감염자가 얼마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메르스 전파력을 측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것이고, 또한 중요한 것은 그렇다 하더라도, 그걸 확신할 수 있느냐라는 것이죠. 무증상 확진자라 하더라도 전혀 감염력이 없다라고 하는 것을 100%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인가요?

[기자]

그래서 주변 조사가 필요한데, 이런 사실을 감추다가 주변 조사를 못한 게 하나 있겠고요.

메르스 감염자 중에서 전체 총수를 알고 그 가운데서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 나타나지 않는 사람, 이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정확히 알고 있어야 됩니다.

그런데 이것을 공개를 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정부가 공개했던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다, 또 실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했다라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겁니다.

[앵커]

감염을 안 시킨다면 그것이 100% 맞는 얘기라면, 그나마 다행일 수 있으나… 또 다른 문제 때문에 이 문제를 매우 중요하게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승필 기자의 설명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추가 확진자가 3명이 아니라 1명이라고 주장한다면서요?

[기자]

2명은 조사 방식에 따라 양성과 음성이 엇갈리게 나오기 때문에 감염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한 초등학생이 유전자 검사에서 조사 때마다 양성도 나왔다가 음성도 나와서 최종적으로 음성 판정을 받은 적이 있는데, 이 학생이 이번에 항체 검사에서도 양성과 음성이 엇갈리게 나왔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사실상 확진자로 봐야 한다는 게 의료계의 평가인데 질병관리본부는 음성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에는 확진자 수를 축소하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밀접 접촉자 혈청을 다 확보한 것도 아니라면서요?

[기자]

격리된 접촉자가 1만 6000명이 있는데, 이 중에 3분의 1 가량만 혈청을 확보해서 그것만 검사를 한겁니다.

[앵커]

그래서 아까 5000명이라고 얘기한건가요?

[기자]

제대로 하려면 격리가 끝날 때쯤엔 혈청을 다 모았어야 하는데 그것도 잘 안 되고 일부만 한 겁니다.

[앵커]

후폭풍이 적지 않겠군요.

[기자]

일단 확진자 수가 늘어났으니까 메르스로 인한 사망률 통계도 다시 써야 합니다.

이 때문에 지난해 9월 정부가 메르스 백서를 발간한다고 했었거든요. 그런데 아직까지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치도 바꿔야 하고요.

[앵커]

메르스발 백서가 아직 안 나오고 있는 게 이 문제 때문이었습니까?

[기자]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이것도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또 한국이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서 메르스 발병국 2위라는 오명을 쓰면서, 전세계적으로 한국이 어떻게 대처하는지 주목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이번에 확진자 수를 알고도 수정하지 않은 사실이 밝혀지면서 국제적으로도 망신거리가 될 전망입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메르스 소식을 이렇게 다시 전해드리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그나저나 이 내용을 질병관리본부는 저희가 보도한 이후에라도 언젠가 발표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기자]

지금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승필 기자였습니다. 수고했습니다.

관련기사

질병관리본부장 "리우올림픽 24시간 대응체계 가동할 것" 문형표 "메르스 초동대응 미흡…죄송" 지카, 한 달째 확진환자 없지만…"앞으로가 문제다" 메르스 '80번 환자' 유족, 국가·병원 상대 손해배상 소송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