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홍콩 대규모 민주화 시위 확산…역사적 배경 짚어보니

입력 2014-10-02 21:26 수정 2014-10-02 23:2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지난 주말 이후 민주 선거를 요구하면서 홍콩 도심을 점령한 대학생, 또 시민들의 시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화면상 보면 굉장히 격렬한데요. 지난 이틀간은 10만명 안팎의 인파가 거리를 가득 메웠습니다. 이번 시위는 홍콩은 물론, 중국의 미래까지 가늠할 시금석이 될 전망이기 때문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 신예리 국제부장과 함께 한 걸음 더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신 부장, 역사적으로 어떤 건지 과정을 짚어보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기자]

네. 먼저 제 뒤로 보이는 영상 잠깐 보실까요. 바로 1997년 7월 1일 0시에 열린 홍콩 반환식 장면입니다. 156년 동안 영국이 식민 통치해온 홍콩의 주권이 중국으로 공식 반환된 순간인데요.

그런데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익숙한 홍콩 시민들로선 사회주의 체제인 중국으로 귀속되는 게 그리 달갑지만은 않았겠죠.

그래서 중국이 약속한 게 이른바 '일국양제' 체제입니다. 말 그대로 하나의 국가에 두 개의 체제를 둔다는 거죠.

반환 뒤에도 홍콩이 기존의 정치, 경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약속이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홍콩 사람들은 그 약속이 깨졌다고 본다는 거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그 발단이 됐던 게 지난 8월말 중국의 국회에 해당하는 전인대의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 방식 발표였습니다.

그동안 홍콩 시민들이 끈질기게 요구해서 주민들이 직접 뽑는 직선제로 바꾸기로 했었는데요, 발표한 내용을 보니 무늬만 직선제였다는 겁니다.

친중국 인사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추천한 후보만 선거에 나설 수 있어 민주적 인사들은 출마 기회가 원천 봉쇄됐다는 건데요.

이런 방침을 폐기하고 진정한 민주 선거를 치를 수 있게 해달라는 게 홍콩 시위대의 요구입니다.

[앵커]

현직 행정장관의 퇴진도 요구하고 있는데, 응하지 않으면 정부청사까지 점거하겠다고 하지 않습니까?

[기자]

렁춘잉 현 행정장관인데요. 이분이 사사건건 중국 입장을 대변해왔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반중국 정서가 강한 홍콩 시민들의 신뢰를 상실할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앵커]

경제적인 이유도 한몫하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뒤 중국인들이 꾸준히 유입되며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등 홍콩 시민들의 삶이 팍팍해졌다고 하고요.

특히 학교 졸업 후 일자리를 얻고 집을 구해야 하는 젊은 세대의 고통이 컸다고 합니다.

얼마 전 홍콩 중문대에서 여론조사를 했는데, 홍콩 시민 5명 중 1명은 이민을 가고 싶다는 결과가 나온 것도 그런 연유입니다.

[앵커]

홍콩 시위대는 오늘까지 렁춘잉 행정장관의 퇴진을 요구하고, 만약 그렇게 되지 않을 경우 정부청사를 점거하겠다고 경고한 상황이라고 들었는데요.

지금 예영준 특파원이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만 바로 끊어져버려서 좀 더 얘기를 나누고, 그 후 홍콩 상황을 직접 전해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 시위가 대만에도 민감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대만의 경우 남의 일 같지 않다고 여기는 거죠.

1949년 대만이 중국에서 분리된 다음 민주적인 국가 체제로 운영해오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중국에서는 걸핏하면 대만에도 홍콩처럼 '일국양제'를 적용해서 통일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어 대만인들의 불만을 살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특히 지난 3월 대만에서는 시위대가 국회와 행정부를 점거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졌었는데, 당시 시위가 벌어졌던 건, 대만 정부가 중국 경제에 대만 경제를 더 예속화시킬 수밖에 없는 서비스업 개방 협정을 체결하려 했었습니다.

그걸 반대하는 시위를 했던 거라 이번 홍콩 시위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 입장에선 홍콩 시위대의 요구사항을 다 들어주는 건 어려운 상황이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대만도 대만이지만, 중국의 경우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입니다.

특히 위구르족, 몽골족, 티베트족 등이 사는 자치구에선 걸핏하면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는 상황인데요.

이들 소수민족 통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지도부가 홍콩 시위대 요구를 순순히 들어주긴 힘든 상황입니다.

관련기사

홍콩 시위대 "행정장관 사퇴 안 하면 정부청사 점거" 우산 펼쳐 최루탄 막고…천안문 이후 최대 규모 시위 홍콩 '우산 혁명' 큰 영향 끼친 17세 학생운동가 눈길 홍콩 시위 격화 속 도심 기능 마비…입법회마저 취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