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사라졌던 '대북전단'의 부활…과거 사례 살펴봤더니

입력 2014-10-26 16:2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햇볕정책을 추진한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거치면서 민간 영역의 대북전단 살포는 사실상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뒤 대북 민간단체들의 움직임이 되살아났고, 2008년 7월 '고 박왕자 씨 피살사건'을 계기로 전면 재개됐는데요.

특히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 사건은 전단 살포에 정당성을 부여한 측면이 있는데, 이걸 계기로 연간 1천만 장을 정례적으로 살포하게 됩니다.

올해만 보면 1월 장석택 처형을 비판하며 50만 장, 3월에는 천안함 폭침을 규탄하며 60만 장, 5월부터 어제(25일)까지, 6차례에 걸쳐 100만여 장을 날려보내는 등 모두 200만 장 이상이 살포됐습니다.

이에 대해 북측도 가만히 있지 않았는데요, 지난달 13일과 15일 '국방위원회' 명의로 '전단 살포 중단'을 요구하는 통지문을 보내왔습니다.

지난 10일에는 전단을 띄워보낸 경기도 연천 지역을 향해 기관총 수십 발을 발사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남북은 이달 말쯤 2차 고위급 접촉을 열기로 했는데, 대북전단 문제가 대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건 아닌지, 혹은 대북협상에서 북한에 약점 잡힐 건수를 하나 준 건 아닌지, 보다 큰 관점에서 살펴봐야겠습니다.

관련기사

"정부, '대북전단' 충돌 부추겨" 여야, 한목소리 비판 대북단체, 오늘도 전단 살포 예정…시간·장소 비공개 [인터뷰] "대북전단 살포, 국민적 차원에서 실행돼야" [인터뷰] "대북전단 살포한 단체, 목적 의심스럽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