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다음 주부터 '구조조정 협의체' 가동…'빅딜' 논의도

입력 2016-04-22 08:1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유일호 경제부총리는 여야정 협의체도 필요하면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요. 당장 다음 주부터 정부는 구조조정 협의체를 가동해서, 구체적인 실행방안들에 대해 논의할 계획입니다.

장정훈 기자입니다.

[기자]

다음 주 열릴 구조조정협의체에는 구조조정의 칼자루를 쥔 금융위원회와 부실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단이 참여합니다.

5대 취약업종 중에도 해운과 조선이 특히 심각한 상황이란 게 정부 판단입니다.

해운업은 세계경제 침체로 물동량이 줄면서, 컨테이너 운임이 4년 전에 비해 크게 떨어져 매출이 급감했습니다.

하지만 10년 전 호황기에 비싸게 빌린 배 이용료는 그대로여서 수조 원대의 부채와 적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팬오션과 대한해운은 이미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은 구조조정 대상 0순위로 꼽힙니다.

정부는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게 한 뒤 두 회사를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조선업계는 저유가가 계속되면서, 석유시추선을 만드는 해양플랜트 사업에 발목이 잡혀 있습니다.

조선 3사가 지난해 기록한 총 8조 5000억 원대의 손실 중, 7조 원이 해양플랜트에서 발생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선박 수주량이 사상 최저를 기록하며 불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공적자금까지 투입됐지만 18조 원이 넘는 부채에 자본잠식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정부는 대우조선해양에서 경쟁력을 갖춘 LNG선만 떼어 내 삼성중공업 등과의 '빅딜'을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경제 선점 경쟁…"구조조정" 선수 친 야당, 배경은? 정부와 야권 구조조정 협상…여소야대 첫 작품 나오나 힘 실리는 기업 구조조정…범정부협의체, 5개월 만에 재가동 김정훈 정책위의장 "야당, 기업 구조조정 호응…환영"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