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형제복지원 피해자들 "30년 지나도 생생…지옥같은 일"

입력 2014-12-04 22:05 수정 2014-12-04 23:0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피해자들은 30년 전에 벌어진 형제복지원 사건을 지금도 지옥 같은 일로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JTBC 취재진이 형제복지원 피해자들을 만나봤습니다.

박소연 기자입니다.

[기자]

[박경보/형제복지원 생존 피해자 : 숟가락을 분질러서 삼켜요. 병원 나가려고. 병원에 나가야 도망갈 기회가 있잖아요.]

형제복지원 생존 피해자들은 지금도 당시 기억이 생생합니다.

[박경보/형제복지원 생존 피해자 : 밤에 잘 때도 머리 위에 칼을 놓고. 박 원장이 자기 잡으러 올 거니까. 자기는 칼을 놓고 자야 한다고.]

잊으려고 해도, 쉽게 잊혀지지 않습니다.

[한종선/형제복지원 생존 피해자 : '야, 한종선!' 이런 고함치는 소리. 이게 지금도 가끔 잠결에 생생하게 들려요. 그러면 저도 모르게 '네!'하고 깨는 거죠.]

1984년. 9살이던 한종선 씨는 작은 누나와 부산의 한 파출소에서 아버지를 기다리다 형제복지원에 끌려왔습니다.

[한종선/형제복지원 생존 피해자 : 기상 첫 시작부터, 그리고 취침 때까지 맞는 거예요. 이유 없이.]

500명이 넘는 의문의 죽음, 실종된 사람들의 행방 또한 알 길이 없습니다.

세상에 알려지게 되면서 형제복지원 피해자 지원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사건이 벌어진 지 30년이 지났지만 진상 규명도, 피해 보상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달 국회에 법안이 상정됐지만 통과될지 미지수입니다.

[진선미 의원/새정치민주연합 : 피해자를 중심으로 그 가족들이 여전히 부랑아라는 낙인이 찍힌 상태로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고 있고, 그것이 현재 진행되고 있거든요.]

과거 형제복지원 터에는 이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습니다.

30여 년 전 벌어진 사건, 사람들은 잊고 있지만 피해자들의 고통은 현재진행형입니다.

[한종선/형제복지원 생존 피해자 : 3900명이 넘는 수용자들의 가정이 깨져버린 거예요. 어떤 사람들은 아버지와 누나를 찾기 위해 온 가족이 생계를 포기하면서 찾으러 다녔던 사건이고, 어떤 사람은 국가에 의해 무연고자가 돼서 평생 자기 가족을 찾을 수 없게 돼버린 사건이에요.]

관련기사

쇠사슬로 묶고 개집에 감금까지…'공포의 장애인 시설' [직통전화] "장애우 인권 유린 가해자들, 훈육이라고 변명" 여전히 문 연 인강원, 폐쇄는커녕 보조금도 지급할 판 '안양판 도가니' 사건 1심 선고, 다섯 차례 연기 왜?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