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5G 기지국, 서울·수도권·밀집지역 중심 5만512개 구축

입력 2019-04-24 11:23

'5G 서비스점검 민관합동 TF' 개최…서비스 조기 안정화 박차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5G 서비스점검 민관합동 TF' 개최…서비스 조기 안정화 박차

5G 기지국, 서울·수도권·밀집지역 중심 5만512개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국의 5G 기지국(4월 22일 기준)은 서울과 수도권, 지방 인구밀집지역을 중심으로 5만512개가 구축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2일 이동통신사와 단말·장비 제조사가 참여한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TF' 회의를 개최, 5G 서비스 조기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5G 기지국은 서울·수도권·지방 인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총 5만512개 구축돼 있고, 5G 장치는 11만751대가 설치돼 있다.

이동통신 3사는 연내 기지국 장치 23만대를 설치해 전체 인구의 93%에 해당하는 85개 시 동 단위 주요지역까지 5G 서비스 수신 가능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전국망 구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그간 차질을 빚었던 일부 제조사의 기지국 장비도 이제 양산체제를 갖추고, 5월부터 원활하게 공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통신 3사는 실내 수신환경 개선을 위해 수도권 1∼9호선 지하철 내에서도 5G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고자 관련 설비를 공동 구축, 활용하기로 합의하고 본격 작업에 착수했다.

공항·대형 쇼핑몰 등 전국 120여개 빌딩 내에서 5G 인빌딩 장비를 이용한 5G망 구축·서비스 제공 방안을 협의하고 이르면 6월부터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5G 속도를 제대로 보장하기 위해 이동통신 3사는 민원제기 시 직접 현장을 방문해 속도를 재측정한 후 최적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5G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지국 확충, 네트워크 최적화·안정화, 기지국 성능 향상 등을 계속 추진한다.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는 5G 음영지역에서 4G 전환 시 일부 서비스 끊김, 통화권 이탈 등 현상이 발생하는 '끊김 현상'은 보완패치 보급과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 후 급속히 감소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정부와 이동통신사, 제조사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5G 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해 계속 협력할 계획이며, 다음 회의를 30일 열기로 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너무 찌질하잖아요"…'KT 화재' 청문회 시작부터 공방 잘 안 터지는 5G에…'속 터지는' 사용자들 불만 속출 '세계 최초' 따내려 5G서비스 기습개통…달라진 점과 요금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