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불안 여전…살충제 '검사항목 부실' 420곳 보완 조사

입력 2017-08-19 21:5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전국 1239곳 농장의 전수조사도 끝났고, 달걀도 예전 수준으로 유통된다고 하지만 아직 불안한 부분이 많습니다. 경제산업부 이주찬 기자와 궁금한 점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이주찬 기자, 오늘(19일) 마트에 직접 나가봤죠?

[기자]

네, 계란 판매대가 손님이 뜸했습니다.

[앵커]

이건 아무래도 정부 발표를 믿지 못하는 그런 부분이 있었기 때문일텐데 어떤 문제가 있었던 걸까요?

[기자]

농식품부가 어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121개 농장에 대한 재검사 내용도 함께 설명했습니다.

전수조사 과정에서 일부 농가의 시료 채취 과정이 규정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언론의 지적에 따른 것인데요.

문제는 재검사 농가 전체 수가 전수조사 대상인 1239곳 가운데 9.8%에 그친다는 점입니다.

그나마 농산물품질관리원의 친환경 인증을 받은 683개 농장에 대해서만 재검사 여부를 결정했고, 556개에 이르는 일반 농장은 검토조차 안됐습니다.

일반 농장은 각 시도 광역단체가 관리를 하고요. 그 다음에 친환경을 받은 농가는 중앙정부에서 관리를 하는데 만약에 업계에서는 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정부가 관리하는 친환경 농장의 재검사율이 17.7% 정도 되는데 지자체가 담당하는 일반 농장의 경우는 더 열악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을 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언론 지적에 따라서 그나마 재검사를 하게 됐는데 그나마도 아주 적은 수만 하게 됐으니 더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런 이야기인 거죠. 그나마 그런데 지자체에 맡긴 일반 농장의 검사, 그런 경우에 지자체가 새로 검출된 에톡사졸이나 플루페녹수론같이 이런 새로 검출된 살충제는 아예 검사를 할 능력이 안 되는 곳도 많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정부는 애초에 27종의 살충제에 대해 검사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하지만 강원과 인천 등 4곳은 19종만, 대전 등 3곳은 23종만 검사했습니다.

기준인 27개 항목을 분석했다는 곳은 단 7곳에 그쳤습니다

농식품부는 이에 대해서 27개 항목으로 기준을 강화한 시점이 올해 4월인데 지자체에서 신규 성분에 대한 표준시약을 확보하지 못해 빚어진 일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이 역시 오늘부터 경북 등을 제외한 420개 농장에 대해 보완 조사에 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27개 항목에 대한 시약이 다 없어서 마저 그것을 마련한 후에 새로 검사를 한다 그러면…

[기자]

이것도 언론 지적에 따라서 다시…

[앵커]

또 많은 시간이 걸리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그러면 어쨌든 다시 조사할 때 세심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텐데 이렇게 한 번 했던 조사를 다시 시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없습니까?

[기자]

특히 금지 살충제인 피프로닐의 경우에는 살포한 뒤 1주일에서 열흘 정도면 닭의 몸속에서 절반 이상 배출되기 때문에 재검사할 경우 최대한 빨리 시료를 채취해야 합니다.

[앵커]

그러니까 원래 살충제가 검출될 수 있는 달걀이었는데도 시간이 지나서 안 될 수도 있다… 그런 이야기군요. 이렇게 우왕좌왕하면서 점점 정부의 신뢰가 깎이는 모습인데, 오늘 또 부적합하다고 이야기했던 농장의 명단이 수정이 됐다고 하죠?

[기자]

예, 피프로닐이 검출된 전남 함평군 농가 명과 난각코드가 각각 '나성준영'과 '13나성준영'으로 정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어제 전수조사 결과 발표 당시에는 '나선준영'과 '13나선준영'이라고 발표했는데 정정한 것이거든요.

당국은 이번 사태가 불거진 첫날부터 수차례 엉터리 통계를 내놓았고, 전수조사 발표 이후에도 오류 정정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특히 살충제가 나온 농장의 달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난각코드에 오류가 계속 생기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겁니다.

잘못 표기로 오해를 산 정상 농가는 선의의 피해를 보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앵커]

정부에서는 빠르게 일을 진행하다 보니까 이런 실수가 발생했다고 해명을 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 제대로 해서 신뢰를 회복하는 게 급선무겠군요.

경제산업부 이주찬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달걀 물량 96% 풀렸지만…날아간 신뢰에 판매 40% '뚝' 부실 친환경 인증 뒤엔 '농피아' 그림자…총리도 경고 "알고 먹자"…커지는 불안감에 주부들은 '달걀 공부' '한 뼘 닭장'서 탈출을…정부, 동물복지 농장 확대한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