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물가 1%대…경기둔화 따른 '불황형 안정'

입력 2012-08-01 11:19

소비 미뤄 수요압력 완화…통화정책 추가완화 전망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소비 미뤄 수요압력 완화…통화정책 추가완화 전망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이런 안정세가 얼마나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국제곡물가격 급등에 따른 `애그플레이션' 우려와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물가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1일 통계청의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물가는 작년 7월보다 1.5% 올라 2000년 5월 1.1%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내려간 것은 2009년 7월(1.6%) 이후 처음이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오르고, 전달보다는 0.5% 떨어졌다.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영향이 컸지만 작년 7월에 소비자물가가 4.5%나 뛴 것도 기저효과로 작용했다.

실제 무상보육·급식 정책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떨어뜨리는 데 기여했다. 한은은 무상보육·급식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월 0.53%포인트, 연 0.44%포인트씩 낮추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이런 안정세는 경기 하강 국면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불황형 물가'라는 지적이 많다.

현대경제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은 "경기 침체 국면이 물가 안정에 영향을 줬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렸지만, 실물과 금융 간 연계가 약해지는 상황에서 금리인하 변수가 물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경기 불확실성에 따라 경제주체들이 소비를 미루는 것이 공업제품 등의 가격안정에 기여하면서 물가 하락 압력을 높인 것으로 평가했다. 7월에 공업제품은 석유류와 의약품 가격 하락 등에 힘입어 전달보다 1.0% 떨어졌다.

물가 하락은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를 높이기도 한다.

경기 둔화가 가시화하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낮아지면 중앙은행의 부담을 덜어줘 통화 완화정책을 펴기에 적합한 상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재준 연구위원은 "물가상승률이 2% 아래로 나타난 것은 한국은행의 목표범위를 벗어난 것이라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다"라며 "중앙은행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통화정책을 좀 더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장 1%대로 물가가 낮아졌다고 해서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체감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인데다, 가뭄과 이상 고온 등의 기후변화로 국제곡물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는 것은 물가의 가장 큰 불안요인이다.

국제곡물가격은 4~7개월의 시차를 두고 국내 가공식품과 사료 가격에 반영된다. 현재의 곡물가격 급등세가 올해 연말과 내년 초 국내 물가로 번진다는 뜻이다.

최근 국제유가가 다시 오르면서 국내 석유류 가격의 상승압력이 커지는 것도 물가에는 먹구름이다.

이외에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계획과 태풍 상륙 가능성, 추석의 수요 쏠림 등은 하반기에 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재부는 "국제곡물가격 급등과 국제유가 재상승 등 물가불안 요인이 남아 있다"며 "곡물의 안정적 확보와 관련업계의 부담 완화 등을 위한 장·단기 대책을 추진하는 한편, 석유산업 경쟁촉진대책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7월 소비자물가 1.5%↑…12년 만에 최저 요즘 정기예금 금리 … 연 4%면 감지덕지 물 가뭄 + 돈 홍수 … 'A의 공포' 눈앞 '딩하오'… 면세점만 웃었다 5월 실질임금 2.2%↑…5개월 연속 증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