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국 혼외자 출생률 1.9% OECD 꼴찌…"보수적 가치관 때문"

입력 2018-10-01 15:43

미혼모가 미혼부의 2.6배…'이유 있으면 이혼해야' 응답 10년새 7.2%p↑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미혼모가 미혼부의 2.6배…'이유 있으면 이혼해야' 응답 10년새 7.2%p↑

한국의 혼외자 출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개발원이 1일 펴낸 계간지 'KOSTAT 통계플러스' 가을호에 실린 '한부모 가구, 미혼모·미혼부 특성' 보고서를 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혼외자 출생률이 1.9%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혼외자 출생률은 연간 신고된 혼인 외 출생아 수를 총 출생아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값이다.

2014년 기준 혼외자 출생률은 일본이 2.3%로 OECD 국가 중 2번째로 낮았고 이어 터키 2.8%, 이스라엘 6.3%의 순이었다.

프랑스(56.7%), 스웨덴(54.6%), 네덜란드(48.7%) 스페인(42.5%), 미국(40.2%) 등은 혼외자 출생률이 높았다.

OECD 27개국의 평균 혼외자 출생률은 40.5%, 유럽국가의 평균 혼외자 출생률은 39.6%로, 한국과 큰 차이를 보였다.

보고서는 유럽국가의 혼외자 출생률이 높은 것에 관해 "동거의 비율이 높고 혼외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의 혼외자 출생률이 매우 낮은 것은 보수적인 가치관 때문"이라며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보다 포용적인 수용 자세는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혼외자 출생률은 2000년 0.9%, 2005년 1.5%, 2010∼2013년 2.1%였고 2014∼2017년은 1.9%대를 유지했다.

2017년 기준 한국의 한부모 가구는 153만3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약 7.8%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 기준 미혼모는 2만2천65명, 미혼부(8천424명)의 약 2.6배에 달했다.

이혼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절대로 이혼해서는 안 된다는 반응은 최근 10년 사이에 눈에 띄게 줄었고 이유가 있으면 이혼을 하는 게 낫다는 인식이 늘었다.

2006년에는 응답자의 19.5%가 '어떤 이유가 있어도 이혼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었으나 2016년에는 이런 응답이 9.5%로 줄었다.

반면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6.8%에서 14.0%로 늘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이슈플러스] 마을 통째로 사라진다…'고령' 한국 위기감 사라지는 마을 살려라…지자체 '인구절벽 탈출' 안간힘 둘만 낳아도 '다자녀 혜택' 검토…다급한 저출산 대책 결혼 줄고 애도 적게 낳았다…5월 출생아·혼인 집계후 최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