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이슈플러스] 사소한 다툼도 '학폭위'로…손 놓는 교사들

입력 2017-12-09 21:10 수정 2017-12-09 23:2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렇다 보니 학교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면, 교사들은 일단 학폭위로 넘기고 보는 분위기 입니다. 잘 타이르면 학생들끼리 풀 수 있는 사소한 다툼도 맡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교사들도 나름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이어서, 윤정식 기자입니다.

[기자]

3년 전 학교를 졸업하고 교단에 선 H씨는 최근 교사란 직업에 회의를 느낍니다.

학생들에게 교과 수업뿐 아니라 인성 교육도 해야하는데 현실적 제약이 많다는 고 말합니다.

[H 씨/교사 : 정말 때렸다거나 이런 게 아니고 담임 재량으로 종결시킬 수 있는 사안들이 있는데 무조건 학폭으로 넘기라는 이런 식의 (학교 폭력 대처) 연수를 들었거든요.]

교육부 학교폭력 처리 가이드북에도 이런 지침이 나옵니다.

교사는 학교폭력 현장을 보거나 알게 된 즉시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학폭위를 열어야 합니다.

서로 화해하는 등 자체 해결하는걸 허용하는 조항도 있지만 교사들은 이를 구분하는데 부담을 느낍니다.

특목고나 자사고 등 강남 8학군 학교에서는 이런 상황이 더 두드러집니다.

[전경원/하나고 교사 : 사실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폭위에서나 (학폭) 사안을 다룰 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런 요소도 작용하기 때문에 기피 업무가 되죠.]

[H 씨/교사 : 욕을 하시고 소리를 지르신다거나 전화로, 네가 잘했어야지 이런 식으로 태도가 나오는 경우가 굉장히 많죠. (가해자건 피해자건 상관없이요?) 네, 상관 없이요.]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들의 법적 권한을 강화하든지 아예 학폭위를 교육청으로 이관해야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영상디자인 : 김정현)

관련기사

고교생이 학교서 교사 6차례 폭행…생활지도 불만 [단독] 교감이 제자 성추행…악성 소문 '2차 피해'도 '수술방 폭행' 교수, 징계 마치고 복귀…떠는 전공의들 장애인 23년간 무일푼 일시킨 60대 항소심서 감형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