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고농도 미세먼지 법칙 확인…"중국 유입 후 대기 정체"

입력 2018-04-10 08:48 수정 2018-04-10 13:4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고농도 미세먼지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논란이 끊이지 않았죠. 그런데 정부의 이번 분석은 국외 요인과 국내 요인의 수치까지 밝히는 등 상당히 구체적입니다. 사회1부 윤정식 기자와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윤 기자, 지난달 고농도 미세먼지가 몰려왔을 때 초반에는 국외 유입의 기여도가 최고 69%에 이르지 않았습니까? 그 근거가 무엇입니까?
 

[기자]

이번 조사를 수행한 국립환경과학원은 여러 증거들을 내놨습니다.

첫 번째로 기상여건입니다.

지난달 23일 한반도 주변 일기도를 한 번 보겠습니다.

한반도 남쪽에 이렇게 H로 표시돼 있는 이동성고기압이 보입니다.

고기압이 있으면 바람은 그 중심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부는데요.

기상청과 당시 바람의 후방궤적을 분석해봤더니 중국의 대표 공업지대 랴오닝성을 거친 바람이 서울로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천리안 위성 영상에서도 22일 중국에 있던 에어로졸 뭉치가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게 확인됩니다.

자체 공해 요인이 거의 없는 강화도에서는 23일 PM2.5 미세먼지 수치가 ㎥당 11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한 평상시 국내에서 쉽게 관측되지 않는 황산염이 23일과 24일에 급격히 증가한 것도 중국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된 증거가 됐습니다.

[앵커]

그런데 후반에는 국내 요인이 높았어요. 그것도 역시 근거가 있겠죠?

[기자]

이건 기상여건이 가장 우선입니다.

중국발 미세먼지는 북서풍을 타고 들어왔었는데 이게 25일에는 바람 방향이 바뀝니다.

서해상의 강한 남풍기류가 형성되는데요.

때문에 국외 미세먼지 유입이 자동적으로 차단된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이동성고기압의 중심으로 들어가면서 내륙에서는 대기가 정체가 된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국내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도 밖으로 빠져나가기 어려워 쌓이기만 합니다.

결국 고농도 미세먼지 상황은 초반에 국외 유입, 그리고 그 후에는 대기정체로 국내 요인이 이어져 발생한다는 법칙이 또 확인된 것입니다.

[앵커]

최근 며칠 전에는 황사가 유입됐는데 이것도 비슷한 상황입니까?

[기자]

그때는 상황이 완전히 다릅니다.

4월 6일이었는데요. 당시 야구경기까지 취소될 정도로 미세먼지가 급증했었습니다.

황사는 입자가 굵은 미세먼지, PM10으로 측정됩니다.

당시 서울은 ㎥당 470㎍, 충남은 481㎍까지 올랐습니다.

'매우나쁨'의 기준치인 150㎍의 3배가 넘었던 것입니다.

그런데도 고농도 비상저감조치가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이틀 연속으로 고농도상황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아까 말씀드렸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요건 두 가지 중 첫 번째인 국외 유입 요건은 충족을 했지만 두 번째인 대기정체 현상이 없던 것입니다.

때문에 황사는 만 하루도 되지 않아 해소됐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항상 비슷한 상황이 아니고 그때그때 국내요인과 국외요인의 비율이 다르다는 얘기군요.

[기자]

정확한 수치는 그때그때 다르지만 패턴은 분명히 있습니다.

평상시 미세먼지 농도 보통 수준일때는 국내외 기여도의 평균이 국내요인은 약 70%, 국외요인은 30%라고 말합니다.

그러다가 일반적인 미세먼지 유입상황, 즉 4월 6일 황사 상황 같은 때는 국외 요인이 많게는 70~80%까지 오릅니다.

국내요인은 20~30% 수준까지 떨어지게 되겠고요.

하지만 대기정체로 인한 고농도 상황일 때를 분석하면 사실상 거의 반반의 기여도가 나타나게 됩니다.

[앵커]

윤 기자, 이같은 국내외 기여도를 따지는 것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 아니겠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우리가 대비해야 하는 때는 보통때가 아닌 고농도 상황이겠죠.

하루 반짝 수치가 안 좋은건 그래도 좀 참아보겠는데, 며칠동안 이어지는 고농도 미세먼지 상황은 최소화시켜야 됩니다.

때문에 정부가 비상저감대책이라며 조치를 취하고는 있지만 부족한 게 사실이고요.

말씀드렸다시피 불가항력적인 대기 상황이 주요 원인입니다.

때문에 학자들은 고농도 상황의 두 번째 요인인 국내요인만이라도 선제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아직은 차량2부제라든지 사업장 조업단축 등 이런 조치들을 공공부문에 한해 실시하는데, 이를 민간 등으로 넓혀야 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시점도 중국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기 전에 미리 예측해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관련기사

"3월 고농도 미세먼지 중국 영향 컸다"…최대 69% 비중 비 그치자 '황사 공습'…프로야구도 첫 '미세먼지 취소' 감기 예방에 바이러스까지 차단?…마스크 성능 '뻥튀기'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할 새 에너지원 찾자"…단체 창립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