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탐사플러스] '먼지'만 쌓인 한·중 기상협력…실효성 논란

입력 2016-10-10 21:50 수정 2016-10-11 00:1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해마다 이맘때부터 한반도 상공에 상륙하는 중국발 미세먼지도 심각합니다. 우리 정부가 중국과 협의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면서 이미 오래 전 중국 현지에 대기오염 측정 장비까지 설치했는데요. 결과는 과연 어떨까요.

이어서 이희정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이 지난해 말 공개한 세계 대기오염지도입니다.

색이 짙을수록 공기가 나쁜데 중국과 한국이 유독 짙습니다.

특히 중국이 겨울철 난방에 들어가는 10월 중순부터 4월까진 중국발 미세먼지가 서풍과 북풍을 타고 한반도로 유입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다롄과 단둥 등 중국 10개 도시에 '대기 공동관측망기기'를 설치했습니다.

황사와 미세먼지 같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입니다.

해당 사업은 기상청과 한국국제협력단 등이 국제원조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했습니다.

중국 기상청이 감지기를 관리하면서 한국에 매일 3시간 단위로 자료를 보내 줍니다.

그런데 취재진이 입수한 기상청 자료를 보면 뭔가 이상합니다.

하반기 데이터들이 아예 누락돼 있습니다.

수집 건 수가 없는 달도 많습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가장 심각할 때 몇달 씩 아예 자료를 받지 못한 겁니다.

코이카 측은 "중국이 감지기와의 통신 오류나 고장 원인에 대해 우리 측에게 잘 설명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원조 사업이어서 적극적으로 중국에 협조를 요구하기 어려운 한계를 드러낸 겁니다.

중국발 미세먼지 공포가 커지자 정부는 지난해 11월 추가적인 대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양국 사이에 전용망을 깔아 대기 정보를 공유하기로 합의한 겁니다.

중국이 대기의 질을 측정해 환경부에 보내면 다시 이를 기상청에 보내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자료를 공유한지 아직 1년도 되지 않아 미세먼지 예보에 실질적 도움이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임이자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 한·중 MOU를 체결해 100억 예산을 놓고 연구해서 검토하자는 정책인데 아직 예산 집행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정책은 세웠지만, 집중적으로 하고 있지 않습니다.]

더 늦기 전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중국발 미세먼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단독] 대기질 좋은 곳으로 이사한 '미세먼지 측정소' 내년부터 서울 전 지역에서 노후 경유차 '통행 금지' 공기청정기 해법이 문 열고 환기? 환경부 해법 '황당' 노후 경유차 서울 진입 제한…대기질 개선 대책 마련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