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제2 금융권 대출 10.4조 증가 '역대 최대'…"가계부채 질 악화"

입력 2016-08-25 13:32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대출'도 9조9000억원 늘어…역대 두번째 기록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대출'도 9조9000억원 늘어…역대 두번째 기록

제2 금융권 대출 10.4조 증가 '역대 최대'…"가계부채 질 악화"


올 2분기 '제2금융권' 대출이 10조4000억원이나 늘어 역대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특히 마이너스 통장 등 '생계형 대출'도 9조9000억원 늘어 역대 두번째를 기록했다.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지면서 제2금융권 대출로 옮겨가는 '풍선효과'로 인해 가계부채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6년 2분기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6월 말 가계신용은 1257조3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33조6000억원(2.7%)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에 비해서는 125조7000억원(11.1%) 뛰었다.

이중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6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266조6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조4000억원 증가, 역대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상반기 증가액은 18조원으로, 반기 기준으로 도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비은행권 대출 규모가 급증한 것은 정부가 지난 2월 수도권을 대상으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시행하면서 은행권의 대출심사가 강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은행권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워진 취약계층이나 저신용자 등이 제2금융권 쪽에서 대출을 받은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상용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제2금융권 흐름은 예금은행과 관련이 있는데, 규제 강화 등으로 예금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힘들어진 이들이 비은행권으로 발길을 돌린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가계가 은행과 제2금융권에서 빌린 마이너스 통장 대출과 신용대출 등을 포함하는 이른바 '생계형 대출'도 전분기 대비 9조9000억원이 늘어,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증가폭을 기록했다. 은행과 제2금융권 등 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 잔액은 326조1000억원으로 지난 1분기 대비 9조8826억원 늘었다.

다만 한은 측은 지금의 가계부채 증가가 시스템 리스크로 옮겨붙을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의 가계부채 증가 추세는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 가계의 부채도 계속 늘어나고 있어 금융·경제적 부담이 증대되고 있다"며 "다만 현 시점에서 가계부채 증가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어 "그동안 정부와 감독당국이 이번 추가 가계부채 관리대책을 포함해 향후 금리 상승 또는 주택가격 하락 충격 등에 대비해 다각적인 대책을 시행해 왔다"며 "대출금리 상승 리스크와 만기 일시상환 부담을 낮추기 위한 고정금리 및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확대해 왔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고정금리 대출비중은 2014년 말 23.6%에서 지난해 말 35.7%, 올 6월 말에는 37.9%로 늘었다. 또 분할상환 대출비중도 2014년 말 26.5%에서 지난해 말 38.9%, 올 6월 말에는 40.1%로 증가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저소득층, 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제2금융권 대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향후 가계부채가 부실화된다면 부채가 빠르게 늘어나고 부채원리금상환부담이 높아지면서 부채상환능력이 약화되고 있는 청년층 및 노년층, 저소득층, 자영업자 및 무직자, 무주택자 등 취약계층에서 먼저 표면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들 취약계층이 비은행권 대출 및 신용대출의 형태로 부채를 늘리는 풍선효과가 가계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유일호 "주택 과잉공급 우려…택지공급 축소·분양보증심사 강화" 상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28조3000억↑…연간 목표의 76% 달성 미분양 주택 두 달째 증가…부동산 시장 찬바람 예고?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