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박 대통령 "국정원 사건 언급 부적절"…'원칙론' 재확인

입력 2014-01-06 18:29

기자단 논의 거쳐 질문 정해…생동감은 떨어져
"개헌은 블랙홀"…추진 거부의사 밝혀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기자단 논의 거쳐 질문 정해…생동감은 떨어져
"개헌은 블랙홀"…추진 거부의사 밝혀

[앵커]

박근혜 대통령이 오늘(6일) 오전에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열었는데, 시청자 여러분들께선 어떻게 지켜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부터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해서 주요 내용부터 뒷 얘기까지 상세하게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남궁욱 기자! 오늘 기자회견이 예정보다 좀 더 길게 진행됐죠?

[기자]

예, 오전 10시에 시작한 기자회견은 당초 1시간 10분 동안 진행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출입기자들의 질문이 12개 이어지면서 답변도 길어지다 보니 약 10분을 넘긴 오전 11시 20분쯤에야 끝이 났습니다.

[앵커]

관심이 가장 컸던 '불통논란'이나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과 관련해서 박 대통령은 어떤 입장을 밝혔는데요.

[기자]

네 입장은 밝혔습니다만 진전된 내용은 없었습니다.

우선 불통논란에 대해선 "기계적 만남이라든지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주장이라도 적당히 수용하거나 타협하는 게 소통이냐"고 되물은 뒤 "그건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법치가 곧 소통"이란 평소의 생각을 다시한번 확인하는 기자회견이었습니다.

이어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해서도 박 대통령은 "재판 중인 사안이라서 대통령으로서 언급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다시 한번 더 선을 그었습니다.

[앵커]

지난해 말 장기 철도노조 파업으로 노사문제가 다시 현안으로 떠올랐는데, 여기에 관한 입장 발표는 어땠나요?

[기자]

이 분야에서도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당장 노사문제에 대해서 두 가지 원칙을 밝혔는데, 그 첫째가 법과 원칙이고, 둘째가 국민 전체의 이익이었습니다. 원론적으로 노사 문제에 대응하겠다는 것을 밝힌 것이고요.

그러면서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이 문제와 관련해 제안한 '사회적 대통합위원회'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이미 있는 노사정위에서 논의해야 한다"면서 우회적으로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그럼 안보는 어떤가요? 역시 기존 원칙론을 재확인한 데 그쳤나요?

[기자]

예,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다소 진전도 없지 않았습니다.

우선 남북관계와 관련해선 김정은이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 필요성을 언급한 데 대해선 "환영한다"고 표현했고요.

또 이에 앞서선 설을 앞두고 이산가족 상봉을 북한에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곧 이어 "하지만 중요한 건 행동과 진정성"이라고 했고요,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만남을 위한 만남은 필요없다"는 이명박 정부의 원칙을 반복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렇게 기존 입장만 반복하는 회견이라면 굳이 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궁금증도 드는데요, 기자들이 너무 무른 질문만 한 건 아닌가요?

[기자]

온라인에서는 이런 저런 말들이 많은데요.

사실 이번 회견뿐 아니라 역대 대통령 기자회견은 모두 기자단 내부 논의를 거쳐서 질문과 질문자를 사전에 확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왔습니다.

워낙 출입하는 기자가 많다 보니까 신문이면 신문, 방송이면 방송, 이렇게 매체군별로 논의를 해서 질문을 정하고 이를 취합해서 전달하는 방식인데요,

이러다 보니 생동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거고요, 이러다 보니까 몇몇 패널과 주제만 딱 정해놓고 반론의 재반론을 내놓으면 토론을 벌이는 '국민과의 대화'같은 TV프로그램에 비해서 흥미도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오늘 개헌론에 대해서도 언급했죠?

[기자]

예, 기자단과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왔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 내용이 이번 회견에서 새롭게 확인된 대통령의 입장이 아닐까 하는데요, 박 대통령은 "개헌론은 모든 이슈의 블랙홀인데 지금은 경기회복의 불씨를 살려야 할 때"라면서 논의하지 않겠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 통일은 대박, 특검은 면박, 소통은 반박" 대통령 기자회견 본 시민 반응은? "각 계층 합의 이루길" [이슈&현장] 김진 "미 대통령 회견 적어도 한 해 10회" [박근혜 신년 기자회견] 박 대통령 "통일은 대박이다" [박근혜 신년 기자회견] '퇴근 후의 삶' 어떤지 물어보니… 새누리 "국정의지 밝힌 자리…소통계기 되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