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반도 규모 7.4 강진 현실 될수도…서울, 직접피해액만 4조

입력 2016-07-06 15:21

한반도 역사적 지진 발생시기, 중국·일본 정황감안시 더 이상 안전지대 아냐

소방재청 '지진피해 예측 보고서', 서울 중심부 규모 7 지진시 2.7만명 사망 추산

전문가 "주요 건물 등 우선 순위 정해 규제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한반도 역사적 지진 발생시기, 중국·일본 정황감안시 더 이상 안전지대 아냐

소방재청 '지진피해 예측 보고서', 서울 중심부 규모 7 지진시 2.7만명 사망 추산

전문가 "주요 건물 등 우선 순위 정해 규제

한반도 규모 7.4 강진 현실 될수도…서울, 직접피해액만 4조


올들어 우리나라에서 30여차례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6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8시33분께 울산 동구 동쪽 52㎞ 해역에서 규모 5.0 지진이 일어난 후 규모 2.6의 여진이 한차례 더 발생했다. 우리나라가 기상관측한 이래 역대 다섯번째로 큰 규모다.

인명피해나 시설물 등의 피해는 없었지만 내륙과 해역을 포함해 올들어 지진중 가장 큰 강진이어서 경남 양산, 의령, 함안, 창원뿐 아니라 부산, 구미, 군위, 김천 등에서도 진도 2~5의 지진이 감지되는 등 진앙이 얕아 전국 곳곳에 진동이 전달됐다.

'울산 지진'이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강진으로 분석되자 지진 피해에 대한 불안이 가중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규모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반도가 판 내륙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진횟수는 비교적 덜하지만 역사적으로 규모 7이상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던 역사기록이 여럿 있고 영덕군 영해~양산시를 잇는 140㎞의 양산단층대와 울산단층대 등 수십 개의 활성단층이 언제라도 활동을 재개할 경우 강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에서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 것일뿐 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환경운동연합은 지적했다.

조선왕조실록 등에도 지진피해 기록중 규모 7에 이르는 강진들이 적지 않게 기록됐으며 조선시대에는 특히 수도권 지역에서 큰 지진이 다수 발생한 것으로 나와 있다. 지진계에도 1952년 규모 6.3의 강서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돼 있어 이같은 강진이 언제든지 재현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실례로 2010년 아이티 지진은 규모 7.0으로 이 지역에서 강진은 250여년 만에 발생한 것이어서 우리나라도 과거에 발생한 큰 지진이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역사지진의 발생 시기와 일본과 중국에서 대규모 지진 발생 등 여러 정황들로 보았을 때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추정할 수 있다"며 "2014년 9월 한달 동안 규모 2.2 지진에 이어 규모 3.5 지진이 연달아 발생했는데 그 진앙지가 활성단층이 발견된 지역이라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진분석 전문가들도 앞으로 한반도에서 강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김성균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지난 2001년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대 지진 규모를 확률론적 방법으로 분석해 진도 7.14±0.34 지진이 발생 가능하다고 제시했다.

김 교수는 1905년 지진계에 의한 지진 관측이 시작되기 이전의 역사자료를 토대로 한반도는 400∼500년 주기로 지진이 활발한 것으로 보고 지진활동이 재기되는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분석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도 지난 2014년 역사지진의 진앙지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 등을 도입해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의 진도 규모를 7.45±0.04로 예측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 규모 7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규모 인명피해는 물론 경제손실 규모도 천문학적인 액수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청이 2012~2015년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지진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예측 모델'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중심부에서 규모 7의 지진이 일어나면 2만7581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재산 피해 규모의 경우 전파·반파·부분손실과 같은 건물피해에 의한 직접금액은 4조2000여억원인 반면 임대료, 소득손실 등 간접피해액을 모두 포함하면 전체 손실액은 2848조원으로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지진이 빈발하지 않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오히려 더 위험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오창환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지진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는데 과거에 경상도에는 실제로 규모 7 지진이 실제로 발생한 적 있고 지질학자들은 이론적으로는 규모 7.4까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며 "(강진)확률은 낮지만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지진이 일어나면 피해가 너무 크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강진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주기가 몇 백년 이상으로 길 수도 있고 맻 백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도 있지만 거기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면서 "원전 등과 같은 위험하고 중요한 건물은 충분한 사회적 논의와 검토를 거쳐 만들고, 주요 큰 건물들은 내진설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중요한 건물, 위험한 지역을 자세히 조사하고 우선 순위를 정해 지진에 대비한 규제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며 "지진이 났을 때 전기, 가스시스템이 멈춰야만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시스템과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은 "한반도 동남지역은 육지에서나 바다에서나 활성단층이 다수 분포하고 있고 지진도 자주 일어난다"며 "활성단층은 언제나 움직일 가능성이 있는 단층이다. 육지의 활성단층은 물론 조사조차 제대로 되지 않은 바다 속의 수많은 활성단층을 제대로 조사하고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울산 해역서 규모 5.0 지진 발생…전국서 신고 속출 울산 동쪽 바다서 규모 5.0 지진 발생…"흔들렸다" 신고 잇따라 "월성·고리 해양단층 정밀조사, 신고리 건설 중단을" 김영춘 "신고리 5·6호기 승인취소 소송할 것"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