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치과, '위생 불감증' 환자 안전 위협…"규제 수준 낮아"

입력 2014-10-30 10:0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치과에서 진료용으로 사용하는 물의 관리 실태에 대한 리포트 보셨습니다. 보통 치과에 간다는 게 유쾌한 일은 아니지만, 이제 정말 치과가 무서워질 수도 있는 이유가 따로 있었습니다. 손광균 기자와 함께 이 문제에 대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손 기자, 진료수가 제대로 관리점검이 이뤄지지 않으면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기자]

네, 진료수가 오염됐을 때 인체에 발생하는 피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먼저 세균 감염인데요, 세균 감염은 배관과 수관을 제대로 소독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저희 취재진이 직접 치과 여러 곳을 돌아본 결과, 일부 치과에서 사용하는 수관 내부에 누런 빛깔의 이물질들이 발견됐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관 자체의 두께보다 세균이 2배 가까이 쌓인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물 자체가 깨끗하더라도 저 수관을 지나면 세균에 오염이 될 확률이 높아지고, 그 물로 입안을 헹궈야 하는 환자들은 감염 가능성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죠.

[김각균 교수/서울대 구강미생물학 :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는 아주 치명적인 병을 일으킬 수 있어요. 문제는 현재 우리 주변에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들이 많다는 거예요.]

다른 한가지 피해는 교차 감염입니다.

치과용 드릴인 핸드피스를 사용할 경우 환자의 침이나 피가 이 기계로 역류하는 것을 아직은 기술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는데요.

이 핸드피스를 제대로 소독하지 않으면 환자끼리, 또는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병균이 오고 갈 수 있다는 겁니다.

이 부분의 위험성에 대해서 지적하는 전문가도 있었습니다.

[이종헌 학장/단국대 보건과학대 : 박테리아는 결핵과 파상풍의 원인인 포도상구균·사상구균이 많고요. 바이러스는 B형 간염이 우리나라에서 많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치과에서 쓰는 진료 의자에 있는 수관이라든가 에어로졸 쪽에서 주로 발견되는 걸로 이야기가 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당연히 이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매뉴얼이 있을 것 같은데, 원래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 건가요?

[기자]

치과의사협회에서 만든 '감염 방지' 지침이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 취재진이 방문한 치과들 가운데 이 기준을 따르는 곳도 있었습니다.

환자를 진료할 때마다 장갑이나 마스크, 환자의 입안과 닿는 부분을 새로 꺼내서 썼고요.

금속 재질의 핸드피스도 사용할 때마다 살균하고 포장을 다시 합니다.

이런 방식을 시행 중인 치과들은 감염 방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유범/서울S치과 :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병원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기는 하죠.]

[최희수 원장/21세기치과 : 치과에서 지급되는 인건비의 3분의 1이나 2분의 1은
이 감염 관리 쪽으로 투자가 되고 있는 셈입니다.]

반면에 관리가 매우 소홀한 치과도 있었습니다.

장갑을 착용하지 않거나, 1회용품을 재활용하는 곳도 있었습니다.

비용이나, 위생에 대한 불감증이 결국 환자 안전에 대한 위협으로 이어졌습니다.

[치위생사 A] : 글러브라든지, 그런 것들도 쓴 거 또 쓰고, 휴지도 쓴 거 또 쓰고. 원래 바늘 같은 경우도 한 번 쓰면 버려야 하거든요. 비용적인 부분이 크기 때문에 소독해서 재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수관에 따로 표백제를 넣어서 그 물을 뺀다거나 한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것 같아요.]

[치위생사 B : 석션 (흡입)하다 안 돼서 확인해보면 찌꺼기가 모여져 있는 거죠. 한번에 수작업으로 모아서 청소를 한 다음 다시 켜보면 다시 되고…]

[앵커]

아찔하네요. 치과에 소독을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기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보건당국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부 치과들이 소독에 소홀해질 수 있었는데요.

보건복지부는 2006년에 치과 기자재의 소독 관리 지침을 어길 경우 행정처분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제재를 받은 치과는 하나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취재진이 보건복지부에 확인한 결과 이 감시업무를 각 지자체에 이관했다는 답변이 돌아왔는데요.

또 각 지자체에 확인해보니 다시 해당 지역 치과의사협회에 관리를 위탁했다는 말이 돌아왔습니다.

치과의사협회에서는 각 병원의 원장들이 각자 점검하고 보고하도록 해놨다고 말했는데요.

그 결과 관리감독에 큰 구멍이 발생한 겁니다.

[앵커]

건강이랑 이어지는 문제다 보니 크게 심각한 상황인데 이번이 처음이 아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보건복지부 지침이 나온 2006년 전후에도 이런 문제가 이미 발생했는데요.

현장에서 치과에 종사하는 분들의 말을 들어본 결과, 청결을 유지해도 돌아오는 인센티브나 금전적인 보조가 없기 때문에 매뉴얼에서 제시한 기준을 따르기가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역시 가장 큰 문제점은 규제가 제대로 마련되어있지 않다는 부분이었습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죠.

[김각균 교수/서울대 구강미생물학 : 규제 부분에서 후진국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의사협회나 간호사협회가 자체 규제를 한다고 사람들이 믿고 있죠. 사람들이 신뢰하는데 그걸 얼마나 잘하는지 국가에서 보는 그런 게 잘 안 돼 있어요. 사고가 터지면 왜 그런지 조사하고 하지만 대개 그런 건 일시적이에요.]

관련기사

치과 진료용수에 세균 득실…10곳 중 9곳 기준치 초과 [탐사플러스] 입 헹구는 치과 위생수, 점검해보니 '충격' [탐사플러스] 진료용 일회용품 재활용?…감독 사각지대 [탐사플러스] "면역력↓ 치명적"…치과 헹굼물 위험성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