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이슈체크] 피해자의 SOS…경찰은 12분 헤매다 골든타임 놓쳐

입력 2021-11-22 19:53 수정 2021-11-22 21:4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피해 여성은 경찰을 바로 부를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눌렀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엉뚱한 곳에서 헤맸고 그사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례는 처음이 아닙니다.

이 사건을 취재한 조소희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스마트 워치를 누르고, 몇 분 뒤에 경찰이 도착한 거죠?

[기자] 

12분입니다.

[앵커]

12분이요?

[기자] 

사건 당일 오전 11시 29분에 눌렀고 경찰은 41분에 도착했습니다.

450m 떨어진 서울 명동으로 위치가 잘못 찍혀서입니다.

경찰이 엉뚱한 곳을 헤매는 사이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앵커] 

그러면 제때 제대로 갔다면 막을 수 있었던 거 아닐까요?

[기자]  

피해자는 4분 뒤인 11시 33분에 다시 스마트워치를 눌렀습니다.

사건 현장에서 파출소까지는 300m도 채 안 됐습니다.

걸어서도 4분 거리입니다.

처음에 제대로 갔다면 두 번째 신호 전에 도착할 수 있었다는 얘기입니다.

[앵커]

직선거리로 300m가 안 되네요. 그러면 금방 갈 수 있었는데 신호가 왜 안 잡힌 거죠?

[기자]  

일부러 택시를 부르면 GPS를 기반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가 잡힙니다.

하지만 경찰이 현재 지급하는 스마트워치는 통신사 기지국을 기반으로 위치가 먼저 뜨고 와이파이나 GPS로 파악한 위치는 몇 초 뒤에 뜹니다.

와이파이나 GPS는 실내 상황 등에 따라 안 잡히는 경우가 있다 보니 경찰은 기지국 위치를 주로 활용하는데 여기서 오차가 발생한 겁니다.

[앵커] 

그럼 오차가 발생한다는 걸 경찰이 모를 리는 없잖아요.

[기자] 

4년 전에 부산에서 똑같은 일이 발생했습니다.

일터에 전 남자친구가 찾아오자 신변보호를 요청한 50대 여성이 스마트워치를 눌렀습니다.

하지만 500m 떨어진 곳으로 잘못 잡히자 경찰이 헤매는 사이에 여성이 흉기에 찔려 숨졌습니다.

[앵커]

그러면 그 사건 이후로 대책이 안 나왔나요?

[기자]  

경찰은 한 달 전에, 부산 사건 한 달 전에 경찰청이 낸 보도자료입니다.

기술적으로 스마트워치의 성능이 개선됐다면서 위치 확인에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었고 GPS 기능도 강화해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게 됐다고 홍보했습니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여전히 정확성이 떨어지는 기지국 위치값을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던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경찰의 신변보호를 받는데 목숨을 잃었다면 경찰 믿을 수 있느냐, 이런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겠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신변보호 요청은 2016년에 비해 5년 만에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스마트워치 보급도 내년에는 올해보다 3배 넘게 늘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허점이 있다면 시민들로서는 여전히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경찰이 오늘(22일) 입장을 냈다고 하는데 뭐라고 하던가요?

[기자]  

서울경찰청장은 깊은 사과를 드린다며 스토킹범죄 대응 TF를 꾸리겠다는 입장을 서면으로 냈습니다.

오늘 서울청장은 치안정책 전수를 위해서 양해각서를 쓰러 우즈벡으로 출장을 갔는데요.

우리 치안에 공백이 없는지부터 점검해야 한다는 감사가 나옵니다.

[앵커] 

때마다 TF 만드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현장이 바뀌어야겠죠.

관련기사

[단독] 12일 전, "흉기로 협박당한 적 있어"…경찰은 입건도 안 해 [단독] 전여친 살해 후 추적 피하려 현금만…체포 당시 CCTV 입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