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취재썰] '10리' 등굣길, 직접 보면 이렇습니다

입력 2021-02-27 17:36 수정 2021-03-03 01:15

[취재썰] '10리' 등굣길, 직접 보면 이렇습니다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취재썰] '10리' 등굣길, 직접 보면 이렇습니다

학교에 가려면 10리 길을 가야 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10리면 4km, 하굣길까지 생각하면 8km입니다. 산속 마을이 아닌, 경기도 삼동 아이들 얘기입니다.

JTBC 밀착카메라팀은 지난 24일 이 소식을 전했습니다.
◆ 관련 리포트
[밀착카메라] 매일 8㎞ '험난한 등굣길'…십수 년째 발만 동동
→ 기사 바로 가기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93861

뉴스가 나갈 때 "너무 위험해 보이는 화면"이라는 의견을 준 분들도 있었습니다. 등굣길로 걸어가는 기자 바로 옆으로 화물차가 지나가는 장면이었습니다. 당시 방송에 다 담지 못했던 아이들의 등굣길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1살 유나가 개학이 달갑지 않은 이유

기자) 유나는 그동안 학교 어떻게 다녔어요?
유나) 엄마 차로요.
기자) 힘든 건 없었어요?
유나) 학교가 멀리 있어서 화장실이 급했는데 힘들었어요.
 
--

유나 어머니 강 모 씨는 3년 전,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10년간의 직장 생활을 접었던 이유는 오직 유나를 학교에 안전히 차로 데려다주기 위해서였습니다. 삼동에 사는 유나가 중대동의 A초등학교로 배정됐는데, 걸어선 도저히 갈 수 있는 거리가 아니었습니다.

 
--
아이를 차로 데려다준 뒤 출근도 해봤지만 일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많은 눈이 온 거나 비가 내리면 등교시키는 데만 차로도 한 시간이 걸렸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요즘엔 맞벌이하지 않고서는 집을 하나 사기도 쉽지 않은 시대잖아요. 그런데도 아이의 의무 교육을 해주기 위해서 엄마가 해줄 수 있는 게 그게 최선이었어요."

#자꾸만 길이 끊겼다
취재진은 유나 집 근처에서 A초등학교까지 걸어가 봤습니다. 큰 도로로 나가자마자 바로 옆으로 화물차가 지나갔습니다.
 
--


좁은 인도를 따라 걷다가 중간에 갑자기 길이 끊기는 곳도 많았습니다.

 
--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는 뛰어 건넜습니다.
 
--

차도에 그어져 있는 선 안쪽으로 몸을 움츠려 걸어야 하기도 했습니다. 구석에 붙어서 걷자니, 아래 도랑이 있어 자칫하면 빠질 뻔하기도 했습니다.
 
--

결과적으로 학교까지 73분 동안 5486걸음을 걸었습니다. 아이들이 걷는다면 훨씬 더 오래 걸릴 겁니다. 거리도 거리이지만, 도로 환경이 험하다 보니 아이들을 절대 혼자 못 보낸다는 학부모들의 마음이 이해됐습니다.

#3명 중 1명은 멀리 다닌다
A학교는 삼동에서 4km 떨어져 있습니다. 법적으로 초등학교는 통학 거리 1.5km, 걸어서 30분 이내에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학교를 설립할 때의 입지 선정 기준입니다. 삼동 아이들이 다니는 A학교가 지어진 건 1951년인데 그 이후 주거지역이 들어온 현실은 반영되지 못했습니다.
 
--

결국 A학교에 다니는 학생 1100여 명 중 300여 명이 원거리 통학을 합니다. 3명 중 1명꼴입니다. 삼동엔 2023년에 아파트가 들어오는데, 그 아이들도 A학교에 가야 합니다. A학교는 자꾸만 학생이 늘어나니 지금 증축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

교육지원청은 삼동의 학령인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학교를 지으려면 3년에서 5년이 걸리고, 400억에서 500억 원이 듭니다. 교육부의 중앙투자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그때 기준이 되는 조건이 36학급 1080명입니다. 물론 모든 학교가 처음부터 이 조건을 충족시킨 채 지어지는 건 아닙니다. 처음엔 10개 학급도 안 됐지만 개교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순차적으로 늘어서 36학급이 되는 겁니다. 모든 학생이 개교 시점에 다 들어오는 게 아니거든요. 아파트 개발 시점도 있고, 중장기적으로 자연 증가하는 학생 수도 있고요. 그런데 삼동은 학령인구도 부족하고 개발계획도 없기 때문에 학교 설립이 어려웠던 겁니다."

#"이제 공적 영역이 책임져야 할 때"
준연이 어머니 손주미 씨는 최근 아이가 다니는 학원에서 한 통의 문자를 받았습니다. 그동안 학원 통학 버스로 아이들의 등하교를 도왔는데 이제 그렇게 할 수 없게 됐단 내용이었습니다. 지난해 도로교통법이 바뀌면서 동승보호자가 의무적으로 함께 탑승해야 하는데, 추가 비용 등 여건이 어렵다는 겁니다.

학원장은 문자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학교 통학만큼은 공적 영역(지자체, 교육청)에서 책임지고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침 등교 걱정으로 힘드실 부모님 생각에 여러 날을 고민하였지만 어쩔 수 없이 힘겨운 결정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

손 씨는 학원 선생님들께 감사했다고 말했습니다. 여러 학부모가 삼동의 통학 여건이 안된다는 민원을 시청과 교육청에 꾸준히 넣었지만 바뀌는 게 없는 상황에서 학원들이 아이들을 위해 봉사했다는 겁니다. 동시에 손 씨의 고민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학원 차는 더는 이용할 수 없고, 다른 아이 엄마에게 준연이도 태워달라고 부탁하는 것도 언제까지나 계속할 순 없기 때문입니다.

기사에는 담지 못한 손 씨의 표정이 있습니다. 인터뷰하게 된 계기를 물었을 때입니다.

기자) 이 문제를 알려야겠다고 결심하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나요?
손 씨) 사실 안타까웠던 게……. 아, 잠시만요. 갑자기 울컥해가지고……. 안 될 것 같아요. 눈물이 날 것 같아요.

잠시 시간이 필요했던 손 씨는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지자체와 교육청에서 좀 더 현실적으로 삼동에서 학교에 가는 보도 상황을 봐줬으면 좋겠어요. 현장은 보지 않고 자료로만 하는 답변을 늘 들어왔어요. 학생들을 좀 더 생각하는 입장에 있다면 서운하지는 않았을 텐데, 항상 무책임한 답변이 돌아와서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 은설이 엄마가 인터뷰를 결심한 이유
교육지원청은 당장 학교는 세우지 못해도 중장기적으로 초중통합학교를 운영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했습니다. 통학 버스도 빠르면 3월 하순부터 운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업체를 선정하고 아이들이 타고 내리는 거점도 지정해야 해 시간이 걸린다고 했습니다.

 
--
주민들은 이제라도 논의가 나아가 다행이라면서도 한편으론 여전히 불안하다고 말합니다. 십수 년 째 방치된 현실을 봤기 때문입니다. 고장 난 신호등과 색이 다 바랜 횡단보도, 깨지고 끊긴 채 시간만 흐른 길을 보면 과연 아이들이 자랄 환경이 달라지긴 할까 걱정이 앞서왔다는 겁니다.

이제 곧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8살 은설이의 엄마 김 모 씨는 학교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삼동 빌라에서 태전동 아파트로 이사를 왔는데, 걸어서 4분 거리에 학교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단지 아파트 곳곳에 학교가 3개나 있습니다. 물론 남편의 출퇴근은 좀 더 멀어졌고, 아파트로 오면서 대출을 많이 받아야 했지만 그래도 아이는 안심하고 학교에 보낼 수 있다는 생각에 위안을 받는다고 했습니다.

 
--
그런 김 씨가 인터뷰를 결심한 이유가 있습니다. 여전히 은설이의 친구들이 멀고 험한 길을 지나 학교에 다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도 거기에는 저희 아이 친구들이 많이 살아요. 딱 두 가지 방법밖엔 없었어요. 자차로 가거나, 학원 차에 타거나. 그런데 그마저도 안된다고 하니까 정말 더는 방법이 없어요. 너무 많은 아이들이 안전하지 않은 채로 다녀요. 그 안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건 저희 성인들이 아니라 아이들이거든요. 관계 기관들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지 말고 책임 있게 살펴봐 주시길 바랍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