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남북관계 개선 공동 책임"…저자세로 바뀐 북한, 왜?

입력 2014-01-28 08:1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북한의 노동신문이 남북관계 개선의 책임이 남한과 북한 모두에게 있다는 글을 실었습니다. 매우 이례적인데요.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얘기가 오가는 이 와중에 북한이 처음으로 남북관계 파국에 대한 책임을 인정한 셈입니다.

김형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어제(27일)자 노동신문 '민족 우선, 민족 중시 입장의 발현'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북한의 최근 대남 제안의 진정성을 강조하며 남북 관계의 파국상태를 바로잡을 근본책임이 남북 당국, 양쪽 모두에 있다고 지적합니다.

남북이 화해의 손을 대담하게 맞잡을 때가 되었다고도 말합니다.

글 대부분이 북한의 중대제안과 공개서한을 선전하고는 있지만 그동안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이 전적으로 남쪽에 있다고 주장해왔던 것과 비교해 볼 때 매우 이례적입니다.

이런 이례적인 남북관계 책임인정은 그만큼 내부 사정이 어렵다는 관측입니다.

[이승열/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연구위원 : 장성택 숙청 이후 정치적으로 국제사회 냉소가 많아졌고 남한과의 대화를 통해서 이 상황을 풀려고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신중하게 봐야 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유동열/치안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여타 보도에서는 여전히 대한민국을 비방하는 논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들이 진실성이 없다는 겁니다.]

북한이 말을 행동으로 실천할지, 이산가족 상봉행사부터 가늠해볼 일입니다.

관련기사

정부 "내달 17~22일 만나자" 이산상봉 제의…북한 응할까 북한 "6자회담 응할 수 있다"…회담 재개 논의 본격화? 미 의회 보고서 "김정은, 앞으로 더 도발적 행동할 것" '키 리졸브' '독수리 연습'에 미 항모·전략전폭기 불참 북한 평화 제스처, 도발의 전조? "유화적 가능성 높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