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사드' 약정체결 돌연 연기…배경은?

입력 2016-02-23 11:37

中의식해 '시간 끌기' 논란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中의식해 '시간 끌기' 논란도

'사드' 약정체결 돌연 연기…배경은?


'사드' 약정체결 돌연 연기…배경은?


국방부가 23일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를 논의할 한미 공동실무단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약정 체결을 돌연 연기한다고 발표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국방부가 애초 이날 오전 약정체결을 발표키로 했으나 예정시간을 한 시간 가량 남겨둔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연기'사실을 내놓으면서 깊은 말 못할 속사정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우선 군 안팎에선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의 방미(訪美)가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왕이 부장과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이날 미국 워싱턴에서 사드 배치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인 만큼, 중국 측의 반응을 확인한 뒤 발표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이는 미국 측의 막판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왕이 부장과의 '담판'을 앞두고 사드 배치 분위기를 띄운 뒤 중국 측의 반응을 떠보는 '협상 전략'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은 최근 사드 배치 문제를 중국의 대북 제재 동참을 이끄는 일종의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은 지난 17일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이 자신들이 가진 대북 지렛대를 사용하지 않으면, 미국은 우리와 동맹국의 방어를 위해 대북 압박 조처를 할 것"이라며 "사드 배치에 대해 한·미 양국이 협의에 착수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선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 문제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사드 레이더의 인체 유해성 논란과 배치 후보지 선정 문제, 비용 분담 등 민감한 쟁점이 많은 만큼 이를 본격 논의하기 위한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하지만 약정 체결을 위한 협의 과정에서 민감한 쟁점들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논의에 앞선 사전 준비 단계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이 정례브리핑 등에서 "한·미 양국 간 이견은 없다. 원만하게 조율하고 있다"고 밝히는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군 안팎에선 전격 연기 발표의 배경이 무엇이든 국가 안보와 국민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중대 사안에 대해 국방부가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연기 결정을 매우 급하게 발표한 것을 두고는 중국을 의식한 미국의 '시간 끌기' 전략에 이용당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반면, 사드 배치는 주한미군의 요청에 따라 이뤄지는 한·미 동맹 차원의 문제인 만큼 미국 측의 생각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하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 필요성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성급하게 추진하는 것보다 국익에 따라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뉴시스)

관련기사

북, '사드 배치' 연일 공세…한·미, 운영안 마련 속도 한미 vs 중국, 입장차 극명한 '사드', 동북아 정세의 핵 중국 '둥펑-31A' 발사 장면 첫 공개…사드 철회 압박 '사드 배치' 둘러싼 한미중 신경전…우리의 전략은? 한·미, 사드 배치 실무단 협의 시점 놓고 '혼선'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