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CJ, 또 대형 악재로 '초긴장'…조원동·K컬쳐밸리·미르재단 출연 '엎친데 덮친격'

입력 2016-11-09 15:1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CJ, 또 대형 악재로 '초긴장'…조원동·K컬쳐밸리·미르재단 출연 '엎친데 덮친격'


지난 8월 이재현 회장의 사면·복권 이후 재도약 의지를 다지던 CJ그룹이 불과 석달도 채 안돼 또다시 대형 악재에 초긴장하고 있다.

K-컬쳐밸리 사업에 차은택 감독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데 이어 청와대의 이미경 부회장 퇴진 압력 의혹이 연이어 불거져 이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여기다 미르재단 출연금에 대한 대가성 규명을 위해 검찰이 총수소환도 저울질 하는 등 '설상가상'의 형국으로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9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CJ그룹은 K-컬처밸리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차은택씨가 개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순실 게이트'와 연루됐다.

일각에선 이 사업에 사용될 자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페이퍼컴퍼니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는 지적도 나오지만 CJ그룹 측은 지금까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CJ그룹은 사업추진 과정에 정부차원의 압박이 있었냐는 지적에 대해선 어떠한 입장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청와대 외압과 관련해 가장 정황이 잘 드러나있는 사안은 이미경 부회장의 퇴진 종용이다. 검찰에서도 이와 관련한 수사를 진행할 방침을 밝혔다.

여기다 미르재단 및 K스포츠 출연금에 대해 검찰이 대가성 지원 여부를 수사중인 점도 CJ 입장에선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검찰은 8일 삼성전자를 압수수색하면서 다른 기업들도 총수소환을 포함, 강도높은 수사를 벌이겠다고 공언한바 있다. CJ 측은 미르에 CJ E&M이 8억 . 케이스포츠재단에 CJ그룹이 5억을 각각 출연했다.

이 외에도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공정거래위원회에 CJ E&M에 대한 조사를 종용했다는 의혹도 추가됐다. 지난 2014년 당시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공정위 고위 인사에게 전화를 걸어 CJ E&M의 불공정거래 혐의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공정위 측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통상적인 절차에 의해 진행됐다"면서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쏫아지는 의혹들에 대한 진위 여부는 추후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날 것으로 보이지만 당장 검찰의 수사 선상에 선 CJ그룹 입장은 난처하기 짝이없다. 이번 정권의 탄압과 '최순실 게이트'의 최대 피해자로 지목되면서도 이른바 '강요'와 '위력'에 의해 추진 의도가 불순한 정책에 보조를 맞출 수밖에 없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찰의 적극적인 수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아무리 청와대의 강압이 있었다 라고 해도 국내 대기업들이 아무런 대가 없이 수십, 수백억에 달하는 돈을 선뜻 지원했다고 생각하기는 힘들다고 보고 있다.

CJ그룹이 처한 현 상황에 대해 재계 관계자는 "과연 여태 그렇게 당했던 CJ그룹이 선뜻 무슨 말이라도 할 수 있는 상황이겠냐"면서 "퇴직했던 CJ그룹 임원들이 조심스레 몇마디씩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CJ그룹 외부에서부터 검찰 수사가 진척이 이뤄지면 분위기는 달라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VIP가 강남 성형외과 지원 지시" 사건 당사자의 진술 "해외 진출 도와라"…'병원 지원' 당시 경제수석 나서 '차은택 연루 의혹' K-컬쳐밸리사업 '좌초하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