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국은 88%, 일본은 전국민…'백신 경쟁' 안이한 판단

입력 2020-12-10 20:3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 사안을 취재하고 있는 임소라 기자와 잠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영국을 시작으로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는데, 우리는 언제쯤 시작합니까?

[기자]

정부는 내년 상반기라고 했는데 더 늦어질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 정부가 계약을 끝낸 건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가 유일합니다.

그런데 앞서 보신 보도처럼 문제가 생겼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 FDA에서 승인이 늦어지면 우리도 영향을 받습니다.

미국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았는데 우리가 허가를 내주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앵커]

그럼 대유행이 한참 지나고 나서 접종을 시작한다는 건가요?

[기자]

그래서 문제가 더 큽니다.

한 백신이 문제가 있으면 다른 걸 맞으면 됩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기 힘든 상황인 거죠.

[앵커]

다른 나라 사정은 어떻습니까? 비교해보죠.

[기자]

일본을 보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각각 6천만 명분을 구매했고요.

그리고 모더나도 2천5백만 명분을 선구매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국내 인구의 80% 이상이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을 확보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먼저 산 나라들이 많아 우선 순위에서 밀릴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의 방역 상황이 우리보다 나쁘기 때문에 그런 걸 수도 있겠지만, 확실히 물량에는 좀 차이가 있네요.

[기자]

일본은 코로나 발생 초기부터 백신 확보전에 나섰고 7월부터 계약을 맺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자국민 100~30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까지 이미 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늦었다고 하는 일본도 이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우리는 왜 이렇게 늦은 겁니까?

[기자]

신중한 건 좋은데요, 전문가들은 "부작용 없는 백신은 없다"고 잘라 말합니다.

이른바 K방역으로 통제가 가능하다, 이런 자신감이 깔린 건데,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신중함과 자신감, 그 속에서 만일의 상황을 보지 못한 겁니다.

[앵커]

방역의 둑은 무너졌고, 백신은 늦어질 수 있고, 그럼 이제 어떻게 해야 합니까?

[기자]

많은 전문가들이 방역은 선제적으로 하고 백신 확보는 공격적으로 해야 한다, 이렇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의 부작용 사례를 다 보고 접종을 시작하겠다는 게 더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백신에 대해선 과유불급이 아니라 '과잉대응'이 필요합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임소라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미국도 '화이자' 마지막 승인 절차…'아스트라제네카'는 난항 박능후 "머지않아 방역·의료체계 역량 한계 올 수도" 미, 화이자 백신 다음 주쯤 접종 시작…캐나다도 승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