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월 소득 중 절반이…" 주거비에 짓눌리는 '월세 푸어'

입력 2015-11-10 09:2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번에는 부동산 시장에서 급증하고 있는 월세 거래 얘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서민들이 전세난에 쫓겨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달 몇십 만 원씩, 당연히 주거비 부담이 클 수밖에 없고요.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거의 없습니다.

먼저 유선의 기자입니다.

[기자]

35살 직장인 최모 씨는 두 달 전 전셋집을 나와 월세로 옮겼습니다.

[최모 씨/직장인 : 2년 만에 7000만 원을 올려달라고 하니 제 능력 밖이죠. 그래서 이번에 월세로 옮기게 됐습니다.]

매달 꼬박꼬박 내야하는 월세 80만 원은 큰 부담이 됐습니다.

결국 두살배기 아들 이름으로 들어놨던 50만 원짜리 적금을 깼습니다.

월세와 대출이자 등 월소득 230만 원 가운데 절반 정도가 주거비로 빠져나가게 됐기 때문입니다.

[윤기림/재무컨설턴트 : 저축 여력이 많이 떨어지게 되고, 그 외 소비 지출도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저금리와 전세난으로 본의 아니게 월세로 갈아타면서 생계비 걱정을 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전·월세 가구의 소비지출액 가운데 주거비 부담 비중은 34.5%로 조사됐는데, 월세의 경우 전세보다 주거비 부담이 더 큰 걸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저축조차 어려운 저소득층은 매월 생활비를 쪼개서 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 부담은 훨씬 더 크다는 지적입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은 사실상 없습니다.

지난 1월 정부가 월세민을 위해 내놓은 금리 우대 대출은 월세 60만원 이하 등 조건이 까다로워 9개월 동안 대출 실적이 300건도 되지 않습니다.

정부가 대책으로 강조하는 공공임대주택 입주도 월세민들에겐 바늘구멍이라는 지적입니다.

[박종복/부동산연구센터장 : 보금자리주택이나 행복주택은 아이디어는 좋지만 보급량이 너무 부족하다는 거죠.]

관련기사

월세 증가가 세계적 추세?…선진국들과 비교해보니 전월세전환율 하락세 … 9월 7.2% "올해 한국 성장률 2.7%" OECD도 전망치 낮췄다 [팩트체크] '한국 경제, 5년 뒤 일본 추월' 정말일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