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서울시 "가짜뉴스 법적대응" 엄포 놨지만…주장 들어보니

입력 2018-10-25 09:1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번에는 서울교통공사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한 소식입니다. 그제(23일) 저희 JTBC뉴스룸에 나와서 입장을 밝히기도 했었는데 서울시 부시장이 기자회견을 열어서 의혹은 대부분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책임 묻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주장의 설득력을 떨어뜨리는 부분들이 또 있습니다.

이수정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 채용 비리 의혹과 관련해 가짜뉴스와 허위자료가 확대되고 있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윤준병/서울시 행정1부시장 : 서울시는 깊은 유감을 표하며,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는 부분에 대해선 향후 분명한 책임을 묻겠습니다.]

채용 비리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는 논거로 정규직 전환 발표 시점을 꼽았습니다.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을 발표한 시점이 친인척들이 무기계약직으로 입사한 시점보다 늦다는 것입니다.

미리 정보를 알고 무기계약직에 지원했을 가능성이 억측이라는 논리입니다.

하지만 서울시 주장에는 구멍이 많습니다.

교통공사에 앞서 서울시복지재단과 신용보증재단이 이미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습니다.

시로부터 전환 승인이 난 것은 그보다도 앞선 시점입니다.

한 산하기관 관계자는 2016년부터 서울시가 산하기관 담당자들을 불러 정규직 전환을 독촉하고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직원 친인척이 무기계약직 채용 정보를 다른 사람보다 쉽게 알 수 있었다는 의혹도 나옵니다.

정규직 공채는 20일 이상 공고한데 비해 무기직은 일주일 이상 공고 후 뽑았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는 정규직 전환 친인척 규모를 108명에서 2명 추가됐다고 했다가 오후에는 112명으로 정정했습니다.

수서역장의 부인과 처형, 노조 지회장 아들이 여기에 포함됐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의혹이 가짜뉴스, 정치공세라는 시의 주장에 힘이 실리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영상디자인 : 송민지)

관련기사

경기도, '친인척 특혜채용' 전수조사 검토 경북도 공공기관 최근 5년간 채용규정 위반 56건 적발 서울시 "교통공사 의혹, 정치공세…사실 아니면 책임 묻겠다" 정의당 "강원랜드 채용도 국조"…한국당 "못할 것 없다"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정규직화' 108명 중 12명이 2·3급 간부 자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