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연락사무소 폭파 언급 없이 180도 변화…북한은 왜?

입력 2021-07-27 19:32 수정 2021-07-27 20:4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북한도 남북 관계 회복을 희망하는 긍정적 반응을 내놨습니다. 다만 연락사무소 폭파 같은 '단절의 책임'에 대해선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았습니다.

신진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화해를 도모하는 큰 걸음"이라고 자평했습니다.

남북 합의 사실을 전하며, "침체된 남북관계가 회복되길 바란다"거나 "통신선 복원이 긍정적 작용을 할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남북관계를 '대적 관계'로 규정하고, 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 북한이 일방적으로 연락을 차단했던 것에 대해선 어떤 언급도 내놓지 않았습니다.

정부도 "앞으로 협의해 나갈 문제"라고만 밝히고 있어, 북한의 갑작스런 태도 변화에 관심이 쏠립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한반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건 분명하고요. 다만 북한이 어떤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남북관계를 앞으로 가지고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불명확합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이 이번 합의의 배경이 됐을 수도 있다고 분석합니다.

방역으로 인한 봉쇄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경제적 어려움 극복을 염두에 둔 해법이란 겁니다.

북미관계 전환을 겨냥해, 남북관계 복원부터 시도했다는 풀이가 뒤따릅니다.

최근 북한 외무성이 "코로나19 백신의 인도적 지원을 불순한 정치적 목적에 악용하지 말라"는 입장을 내놓은 것도 이같은 관계회복 조치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다만, 정상 간 친서 교환이 여러 차례 이뤄졌고, "한미 간 소통까지 충분히 이뤄진 결과"라는 점을 감안할 때 남북관계 복원과 북미대화 재개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실제로 바이든 정부는 "대화와 외교적 노력"을 반영한 대북정책으로 북한의 결심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도 분석됩니다.

통일부는 이번 합의를 계기로, 남북 채널을 완전히 복원하겠다는 구상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습니다.

정부의 후속조치가 비대면 화상 회담 등 남북 정상회담으로까지 이어질지도 함께 주목됩니다.

(영상디자인 : 유정배 / 영상그래픽 : 박경민)

관련기사

한·미·일 외교차관 "北, 밝은 미래 위해선 비핵화 논의 나서야" 김정은 신변이상설에 국정원 "근거 없다…정상 활동 중" 단절 13개월 만에 남북 통신선 복원…"4월부터 친서 교환"
광고

관련이슈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