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단독] 세금 들여 모은 강제동원 해외 자료도…분석 7%뿐

입력 2021-05-13 21:25 수정 2021-05-18 21:3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강제동원 자료들은 대부분 해외 기관에 보관돼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세금을 들여 자료들을 모아 왔고 그 분량이 수백만 건입니다. 그런데 제대로 분석한 기록은 이 가운데 7%밖에 안 됩니다. 어렵게 가져오고도 제대로 활용을 못 하고 있는 겁니다.

강희연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국립문서관리청과 일본 방송 아카이브 등 해외 기관엔 우리나라와 관련된 기록물들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디지털 복원 과정을 거쳐 항목별로 잘 정리돼 있습니다.

국가기록원은 매년 이 자료들을 모으고 있습니다.

자료는 번역 등 해제 과정을 거쳐 홈페이지에 공개합니다.

현재까지 기록원이 수집한 해외 기록물은 문서 약 258만 건을 비롯해 모두 271만 건입니다.

지난 5년 동안엔 관련 비용으로 5억 원 넘게 썼습니다.

하지만 해제 작업이 이뤄진 자료는 전체의 7% 수준입니다.

대부분의 기록물이 어떤 내용인지 확인조차 안 되고 있는 겁니다.

수집 과정부터 체계적이지 않습니다.

해외에 얼마나 많은 우리 기록물이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록원 뿐 아니라 여러 기관이 제대로 협의하지 않아 하나의 해외 기관에 중복으로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어렵게 해제작업을 거친 일부 자료는 홈페이지에 올려뒀지만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

취재진이 강제동원 관련 자료를 요청하자 찾을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 : (요청한 자료가) 미등록된 것도 있고. 거기 파일이 하나가 있는 게 아니라 수십, 수백 개가 있어요. 그중에서 하나씩 뽑아내야 하는 거예요.]

인력이 부족해 해제 작업이 더디다고 해명합니다.

실제 기록원에서 해외 기록물을 수집하고, 정리 등록 하는 직원은 각각 1명뿐입니다.

번역이 어렵다고도 말합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 : 독일·헝가리·러시아어 전혀 안 되고, 일본 같은 경우도 고일본어 이러면 읽을 수가 없잖아요.]

전문가들은 자료를 수집하는 것만큼 누구나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임지현/서강대 사학과 교수 : 아카이브에 대한 민주적 접근권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문서보관소를 누구에게든 원하고 보려고 하는 사람에게 개방해야 한다는 게 원칙입니다.]

취재진은 미국과 일본 등 해외 기관에서 강제동원 관련 중요 기록물 여러 건을 발굴했습니다.

관련 영상은 다음주 뉴스룸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제작지원 : 한국언론진흥재단)
(VJ : 최준호·안재신 / 영상디자인 : 조성혜 / 취재지원 : 최서인)
 

 

관련기사

일본 "징용에 의한 노무 강제노동 아니다" 대놓고 부정 '위안부 증거' 상하이 첫 위안소 보존…"철거 불허 방침" [단독] '혐한' 전 주한대사 등 영입…역사왜곡 국제적 로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