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이전 날짜 보기
다음 날짜 보기
일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페이스북
트위터
조선인 강제동원은 외면…'중국인 피해자' 사과한 미쓰비시
일본 나가사키에 있는 군함도. 우리에게는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인들이 끌려가 강제노역을 했던 아픈 역사의 장소입니다. 반면 일본은 이곳을 '하시마(端島)'로 부르는데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를 해뒀습니다.이
2022-07-05 14:46
play
'조선인 강제동원 외면' 미쓰비시, 중국인엔 사죄 비석
일제 강점기 때 '군함도'로 불렸던 하시마 탄광에 조선인을 강제동원했던 미쓰비시 측이 그런데 중국인들에 대한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비석을 세운 것으로 확인됐는데요.지난해 나가사키에 설치했다고 하
2022-07-05 15:18
play
강제동원 민관협 출범…피해자 측 "일본 기업과 직접 협상"
[앵커]일제강점기 때 강제 동원됐던 피해자들에게 배상을 하는 문제는 한일 관계를 풀어가는 데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 민관 협의회가 출범했는데, 피해자 측은 직접 일본 기업과 협상할
2022-07-05 08:18
일제 강제동원 배상문제 풀 민관 협의회, 다음달 4일 출범키로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 문제를 풀 민관 협의회가 다음 달 4일 출범을 앞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 출범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그동안 협의회를 추진해 온 외교부는 일
2022-06-29 22:21
[단독]일본, 세계문화유산 기준 2개에 해당한다고 신청...일본측 논리와 한계는?
일본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제출한 추천서에 대상 기간을 일제 강점기를 제외한 19세기 중반까지로 기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즉 강제 노동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일제강점기 이전
2022-02-14 16:28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천서에 '조선인 강제노동' 제외
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면서 대상 기간을 일제 강점기를 제외한 19세기 중반까지로 삼은 것으로 14일 파악됐다.일본 정부는
2022-02-14 09:29
러시아 "日 사도 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대"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사진-연합뉴스〉러시아가 일본의 사도(佐渡) 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비판하며 이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현지시간 9일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2022-02-10 10:16
도쿄대 역사학자의 사도광산 '팩트체크'…"조선인 강제노동은 분명"
일본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도 말을 걸어왔습니다. 지난 3일 일본 외무상이 정의용 외교부 장관에게 통화를 요청해 "성실하게 논의하
2022-02-09 16:22
play
[단독] 도쿄대 교수의 사도광산 반박…"조선인 강제노동은 분명"
[앵커]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리려는 일본은 "조선인 강제노동이 없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이 문젤 연구한 일본의 한 역사학자는 저희 취재진에게 "조선인 강제노동은 분명히
2022-02-08 20:25
법원 '강제동원 피해' 소송서 일본기업 손 들어줘…유족 "유감"
서울중앙지방법원 전경서울중앙지법 민사68단독은 일제 강제노역 피해자 유족들이 일본 기업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소송에서 유족에 패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피해자 민모씨는 지난 1942년 일본제철(옛 신일본제철)이
2022-02-08 18:02
1
2
3
4
5
...
45
다음 페이지 이동
실시간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