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4년 새 태산처럼 밀려온 바다쓰레기…처리는 우리 몫

입력 2021-06-18 20:44 수정 2021-06-18 21:2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치워도 치워도 끝없는 쓰레기로 아름다워야 할 우리 바다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한 해 동안 바닷가로 밀려와 건져낸 쓰레기만 13만 톤이 넘습니다. 4년 사이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버려진 쓰레기는 돌고 돌아 우리 식탁에 오를 수 있습니다. 선박들은 위험천만한 상황에 처하기도 합니다.

박상욱 기자입니다.

[기자]

바다 위를 떠다니던 쓰레기들이 수거선 위로 끌어올려 집니다.

한곳으로 모은 쓰레기들은 크레인을 동원해 집어 올립니다.

항만 주변을 청소하는 청항선에 올랐습니다.

작업을 시작한 지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았는데 벌써 많은 쓰레기가 모였습니다.

어민분들이 쓰는 스티로폼 어구뿐 아니라 아이스박스 뚜껑, 운동화, 그리고 내용물이 꽉 차있는 공업용 본드까지 통째로 바다 위에 떠 있었습니다.

수심이 얕아 청항선이 닿지 못하는 곳엔 잠수부가 직접 나섭니다.

바닷속엔 그물과 통발이 곳곳에 가라앉아있습니다.

해변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페트병뿐 아니라 두툼한 어업용 밧줄에 성인 몸통만 한 부표도 수두룩합니다.

스티로폼 부표는 이미 부서지기 시작해 모래처럼 알갱이로 변했습니다.

바다로 흘러 들어가 미세플라스틱이 되는 겁니다.

전체 해양쓰레기 발생량 가운데 65.3%는 육지에서, 34.7%는 바다에서 비롯됐습니다.

나뭇가지와 같은 '초목류'를 제외하면, 상황은 뒤집힙니다.

바다에서 비롯된 쓰레기의 양이 전체 60%에 달합니다.

특히, 바다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89%는 어업 활동으로 인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문성혁/해양수산부 장관 : 해상 기인 플라스틱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친환경 부표를 2024년까지 100% 보급할 계획입니다.]

해상 조난사고의 13%는 폐그물 등 해양 쓰레기로 발생한 사고였습니다.

유실된 어구류로 인한 어획량 감소 피해는 3,800억 원어치에 달합니다.

해양쓰레기로 인한 피해는 해양 생태계뿐 아니라

다시 우리 인간을 향하고 있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지연 / 영상그래픽 : 한영주)

관련기사

쓰레기 줍고 '찰칵'…제주바다 살리는 '봉그깅 청년들' 플라스틱 쓰레기가 다시 석유로…'진짜 재활용' 어떻게? 폐그물·폐어구…바다의날 맞아 바닷속 '지뢰' 수거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