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위안부 피해자 소송 '각하'…석 달 만에 판결 뒤집은 법원

입력 2021-04-22 08:2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석 달 전과 정반대의 판결을 이번에 재판부가 내리면서 지금 여러 가지 면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 국가가 다른 나라 국가 법원에 가서 재판을 받지 않는다는 개념을 인정하면서 일본 손을 들어준 건데요. 후퇴, 또 역행의 판결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먼저 오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998년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국제 관습법 등을 고려해 "한 나라의 주권적 행위는 다른 나라에서 재판받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놨습니다.

이 '주권 면제' 원칙이 인정되는지 여부는 일본 정부를 우리 법정에 세울 수 있는지 가를 쟁점이었습니다.

위안부 피해자 측은 "일본의 범죄 행위가 반인도적인 만큼 '주권적 행위'가 아니다"라고 호소했습니다.

따라서 '주권 면제'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다르게 봤습니다.

위안부 관련 범죄는 전시 상황에서 일본이 공권력을 이용해 저지른 주권적 행위라서, '주권 면제'가 인정된다는 겁니다.

"우리 헌법이 인간 존엄을 최고 가치로 삼는 만큼 이 사건을 통해 피해자들의 권리를 구제해야 한다"는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재판부는 "국제법규를 준수해 세계 평화에 기여해야 한다"는 과거 헌법재판소 판단을 꺼냈습니다.

'국제법 존중'에 방점을 둔 판단은 이뿐만이 아니었습니다.

굳이 이 소송이 아니더라도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이미 피해자들의 권리를 구제하는 수단이 마련됐다고 재판부는 밝혔습니다.

합의 절차나 내용에 문제가 있을지 몰라도 효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건데, 지난 2018년 강경화 당시 외교부 장관이 "2015년 합의에 대해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도 언급됐습니다.

화해치유재단 기금이 일부 피해자들에게 지급된 것도 근거로 들었습니다.

재판부는 지난 1월 피해자들의 손을 들어준 다른 재판부의 판결에 대한 입장도 밝혔습니다.

"주권 면제에 대해 법원이 어느 정도로 예외를 인정할지는 국익에 미칠 유불리를 냉정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책 결정이나 외교적 교섭이 필요한 문제라며 국회와 정부에 공을 넘겼습니다.

재판부는 선고 말미에 "피해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많은 고통을 겪었고, 피해 회복도 미흡했을 걸로 보인다"면서도, 현재 법리에 따라 각하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유정배)

관련기사

일본 상대 위안부 손해배상 2차 소송, 이번에는 패소 '위안부 소송비 일본 부담' 제동…새 재판부 "국제법 위반" '위안부' 소송 각하…이용수 할머니 "국제사법재판소 가겠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