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외교부 "동의한 적 없다"…일본 '역사 왜곡·외교 기만'
입력 2019-11-11 20:32
수정 2019-11-12 11:4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URL 줄이기 레이어
닫기
[앵커]
이런 일본 외무성의 주장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당연히 펄쩍 뛰었습니다. 우리가 쓰는 공식 표현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것일 뿐이지 성노예 상태를 부인한 적은 결코 없었다는 설명입니다.
김소현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외교청서의 내용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우리 외교부는 반박 입장을 밝혔습니다.
2015년 위안부 합의 당시 우리 정부가 밝힌 건 우리가 쓰는 공식 명칭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라는 것뿐이었다면서 "성노예란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한 적은 없다"고 한 것입니다.
외교부는 이 같은 설명을 2017년에도 확인한 바 있습니다.
현 정부 출범 직후 2015년 박근혜 정부 때 이뤄진 '위안부' 합의를 재검토하는 태스크 포스를 꾸렸는데 거기서 확인한 것입니다.
실제 TF가 낸 보고서엔 "일본 측이 성노예란 표현을 쓰지 않기를 바랐지만, 한국 측이 국제적으로 쓰이는 용어란 점을 들어 반대했다"고 돼있습니다.
다만 TF는 이런 논쟁 자체를 외교부가 2015년에 비공개했다는 점에서 "일본 측이 이 문제에 관여할 여지는 남겼다"는 평가도 보고서에 담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외교부는 오늘(11일) 논란이 커지자 "지난 4월 외교청서가 나왔을 때 이미 일본 측에 이런 지적을 했다"고 뒤늦게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조영익)
관련
기사
일본 "한 국가 반대해도 불가"…유네스코 등재 규정 변경 시도
이제 단 20명…생생한 증언 들려줄 'AI 할머니' 만든다
문희상 "위안부 문제, 마음 담긴 사죄 있으면…" 사과 촉구
워싱턴 '소녀상' 마침내 보금자리…"도심 건립 추진 계속"
유니클로, 사과 없이 한국 광고만 중단…시민들 '싸늘'
관련
이슈
'위안부 망언' 논란
|
관련
VOD이슈
탐사플러스|한·일 협정에 분 '미국 입김'
|
'한·일 위안부 합의' 그 후 1년
|
한-일 소녀상 갈등 증폭
|
정부 주관 첫 '위안부 기림의 날'
|
윤미향 기자회견
취재
촬영
영상편집
김소현 / 정치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문대통령 "대통령은 언제 맞나요" 질문에 정은경 대답은...
보이는 것이 참 중요한 사람이지만, 보이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보이는 것이 중요한 '방송', 보이지 않는 것 까지 찾아야 하는 '기자'가 됐습니다. 안 보이는 것들을 잘 보일 수 있도록 전하고 싶습니다.
이메일
홍승재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아이들 쓰는 제품서 유해물질…산업부, 리콜 명령
영상취재팀 홍승재 촬영기자입니다.
이메일
손지윤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학폭 트라우마 큰데…가해 학생 '폭력 기록' 지운 학교
사실 속 진실을 기록하겠습니다.
이메일
촬영기자 0
촬영기자 1
이지혜 / 영상편집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밀착카메라] "또 산불" 전화통에 '불'…긴장의 안동을 가다
"안녕하세요. 영상편집팀 이지혜 편집기자입니다."
이메일
이전 취재기자 보기
다음 취재기자 보기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