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알리지 못한 '부마항쟁'…계엄군의 집요한 '보도 지침'
입력 2019-10-02 21:25
수정 2019-10-02 22:26
24시간 실시간 통제…모호한 기준으로 보도 막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URL 줄이기 레이어
닫기
24시간 실시간 통제…모호한 기준으로 보도 막아
[앵커]
오늘(2일)도 부마민주항쟁 관련 보도를 이어가겠습니다. 사실 한국 현대사에서 부마항쟁은 민주화의 도화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잘 알려지지 않았죠. 왜 그런지 찾아봤더니 항쟁 당시부터 박정희 정권이 집요하게 실시했던 언론통제가 있었습니다. 관련 자료를 저희가 입수했습니다.
김태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부마항쟁이 한창이던 1979년 10월 18일 작성된 육군의 상황일지입니다.
부산 지역에 계엄령이 떨어진 뒤 8시간 만에 언론통제도 단행됐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언론사 보도에 대한 검열은 시 공보실에서 계엄군의 보도검열단이 실시했습니다.
검열은 매체별로 맞춤형으로 이뤄졌습니다.
신문들은 인쇄기가 돌기 직전에, 방송은 속보를 내지 못하도록 수시로 검열을 한 것입니다.
종합해보면 하루 24시간 내내 부마항쟁의 진상이 알려지지 않도록 틀어막은 셈입니다.
보도지침의 기준도 모호하기 짝이 없습니다.
국민여론을 자극하면 안 된다거나, 국가 이익에 위반돼선 안 된다는 식으로 느슨한 기준을 정해놓고 이를 근거로 부마항쟁 보도 자체를 막은 것입니다.
[차성환/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외 상임위원 : 지침의 내용이 너무 광범위하고 추상적이고 막연합니다. 계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도의 제한을 가하는 게 아니고 거의 모든 보도를 검열하게 두는 효과를…]
이렇게 철저하게 보도 통제가 이뤄진 탓에 부마항쟁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비해서도 관련 자료가 극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자료 : 김병기 의원실)
(영상그래픽 : 김지혜)
관련
기사
보안사 문건 속 '전두환'…부마항쟁 진압 작전 '지휘' 정황
광주서 쓴 '헬기-화염방사기'…7개월 전 부마서도 동원
10·26 나흘 전 김재규, 박정희에 '부마항쟁 원인' 보고
"역사 부정한 전두환 파렴치"…조영대 신부 법정증언
유럽 독자 만난 한강 "20세기는 전세계에 상처 남긴 시간"
관련
VOD이슈
단독 입수|'박헌영 수첩'
|
탐사+|'국정원 마티즈 사건' 그 후
|
단독|휴가철 항공기 안전 '비상'
|
단독|박근혜 정부 '기록 관리' 부실
|
단독|'피아식별장치' 교체 지연
|
단독|실내 미세먼지도 비상
|
사건플러스|'성폭행 대령 체포' 그 뒤엔
|
취재
촬영
영상편집
김태영 / 기동이슈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경찰청, 초대 국가수사본부장에 남구준 경남청장 추천
김태영 기자입니다.
이메일
김재식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가덕도 방문한 문 대통령…국민의힘 "노골적 선거개입"
하얀 스케치북
이메일
정상원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거대해진 힘, 조작 논란까지…막 내린 '실검'의 역사
영상취재팀 정상원 촬영기자입니다.
이메일
촬영기자 0
촬영기자 1
오원석 / 영상편집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하루 3% 안팎 널뛰기 장세…개미들 "천당·지옥 오가"
'순간 소중히 살아가자~'
이메일
이전 취재기자 보기
다음 취재기자 보기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