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분양가 상한제 도입 논란…집값 잡힌다 vs 지나친 개입

입력 2019-08-12 20:36 수정 2019-08-13 09:2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매우 강력한 대책이지요. 정부가 집값에 직접 개입한다. 시장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고, 또 시장을 흔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 취재기자와 한걸음 더 들어가겠습니다.

이한주 기자, 분양가 상한제 도입, 정부가 발표하기 전부터 굉장히 논란이 되었던 부분이이기도 합니다. 작년에 내놓은 것보다 아무튼 훨씬 더 강력한 대책이라고 봐야되겠지요?

[기자]

민간 아파트 분양가를 제한하는 것은 부동산을 규제하는 사실상 최후의 수단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앵커]

사실 그래서 이것이 안 통하면 어떡하나 하는 걱정들도 있는 것이고요.

[기자]

그동안 간접 규제를 해오다 직접 규제로 돌아선 이유도 그것입니다.

'8·2'나 '9·13' 등 기존 부동산 대책이 양도세를 강화하고 대출을 조이는 식으로 가격을 조정했다면 분양가 상한제는 집값을 말그대로 정부에서 직접 정하는 것입니다. 

그만큼 효과는 강력하지만 시장 논리에 어긋난다는 반발도 클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그런 반발은 사실 예전에 이런 얘기가 나올 때도 늘 있었던 것이기도 한데 결국은 이제 선택의 문제인 것이고 정부는 선택을 한 것입니다, 지금. 그래서 이제 그 효과를 봐야 되는 그런 문제가 남는데 아무튼 이런 카드를 그럼에도 불구하고 빼든 이유 뭐라고 봐야 될까요? 도저히 지금 상황에서는 안 되겠다 이렇게 판단한 걸까요?

[기자]

맞습니다. 집값 추이를 보면 쉽게 알 수가 있는데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입니다.

보시면 9.13대책 이후 하향 안정세를 취해 오다가 7월을 기점으로 다시 반등을 했습니다.

오름폭도 점점 더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서울 분양가는 강남 재건축, 재개발을 중심으로 20% 안팎까지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서울 집값 오름폭의 약 4배입니다.

[앵커]

그래서 실제로 집값이 얼마나 떨어질 것으로 보느냐 이게 중요할 것 같은데.

[기자]

맞습니다. 정부는 분양가격이 주택도시보증공사 기준 가격으로 20~30% 정도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시세와 비교하면 더 떨어질 수 있습니다.

후분양을 진행 중인 강남 상아2차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분양가가 3000만 원대 후반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기존 시세 대비해서 큰 폭으로 낮아지는 겁니다.

[앵커]

다만 분양가를 낮추면 이렇게 싼 값에 분양받은 다음에 비싼 값에 도로 되팔아버리는, 그러니까 이른바 로또아파트가 되는 게 아니냐 이런 우려도 있지 않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한테 팔 수 없는 기간인 전매 제한 기간을 최대 10년까지 늘리는 건데요.

현재 4년에서 10년으로 2배 이상 늘어난 겁니다.

공공주택이 8년인데 이것보다 더 강화를 하는 겁니다.

다만 수도권 공공주택은 민간 규제처럼 10년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시장 반응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기자]

우선 정부의 바람대로 집값이 안정을 찾고 실수요자가 실제로 집을 구하는 그런 긍정적인 반응이 나올 거다라는 반응입니다.

하지만 일반 분양가격이 낮아져서 기존의 주민들의 부담금이 늘어나면서 재건축, 재개발을 포기를 할 수도 있다. 그런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요.

그렇게 되면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에 집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 또 전셋값이 뛸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한주 기자입니다.

 

 

관련기사

'상한제' 도입 앞두고 8월 분양 급증…전년대비 4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10월 시행추진…투기과열지구 대상 당정,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개선 공감대 "10월초 시행 예상" 강남 재건축발 집값 반등에…정부 '분양가 직접 규제' 나서 서울 집값 상승폭 커져…상한제 영향 없는 아파트단지 주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