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일, 청구권 협상 초기자료 공개하며 "징용문제 해결" 억지 주장
입력 2019-07-30 20:17
수정 2019-08-13 11:0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URL 줄이기 레이어
닫기
[앵커]
"강제징용 보상은 한·일 청구권 협상으로 이미 끝난 얘기다." 듣기에도 좀 지겨우시지요. 아베 정부가 되풀이하고 있는 주장입니다. 어제(29일)는 그 근거로 한·일회담이 처음 시작된 1950년대 자료까지 꺼내 들었는데, 일본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만 발췌해서 언론에 공개했습니다.
이한길 기자의 리포트를 보시고 팩트체크하겠습니다.
[기자]
일본 외무성이 공개한 문건입니다.
1952년 한·일 회담 당시 한국이 일본에 요구한 8가지 항목 안에 "피징용 한국인에 대한 보상금" 등이 포함됐다는 내용입니다.
일본은 당시 회의록도 일부 공개했습니다.
한국 측은 "징용당한 사람들의 정신적·육체적 고통에 대한 보상"을 요구했습니다.
지불 방식에 대해서는 "한국 정부가 받아서 개인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조치하겠다"고 돼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일본 측은 "당시 협정에 강제징용 위자료가 포함된 것은 명백하다"고 주장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은 전했습니다.
일본이 더 이상 강제징용에 대한 보상을 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일본의 생각을 대외적으로 설명하고 올바른 이해를 요청하는 것은 당연히 할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우리 대법원이 개인에 대한 배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 등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영상디자인 : 곽세미)
관련 리포트
보러가기
대법 징용 판결로 본 일 '도돌이표 억지 주장'…핵심은?
채윤경 기자
/
2019-07-30 20:56
관련
기사
일, 6년 전부터 '강제징용 판결 압박'…외교 문건 확인
일, 현 정부 들어서도 '징용판결' 압박…삼권분립 무시
일 '강제징용' 압박이 결국 단초…'사법농단' 전말은?
'백색국가' 한국 제외 확실시…일 "한국과 정상회담 안 해"
광화문광장서 '아베 규탄' 촛불 집회…"광복절까지 계속"
관련
이슈
일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
관련
VOD이슈
'강제징용 소송' 13년 만에 결론
|
르포|강제징용 현장을 가다
|
日 '징용판결 압박'
|
국가기록물 관리 실태
취재
촬영
영상편집
이한길 / 국제외교안보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러, 전승일 '전면전' 선포설…"푸틴 직접 계엄령 가능성도"
이한길 기자입니다.
이메일
유규열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김은혜 "힘있는 여당 후보, 1기 신도시 재건축 등 끌어오겠다"
자신들이 취재하는 방송국에는 나올 수 없고 경쟁 방송국에 가끔 팔이나 뒤통수가 나오는 영상전문가!! 순간을 기록하고 역사를 기록하겠습니다!!
이메일
강한승 / 영상편집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광복군-미 정보국 '침투 작전'…훈련사진 첫 공개
강한승 편집기자입니다.
이메일
이전 취재기자 보기
다음 취재기자 보기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