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5년간 드론 3천700대·3천500억원 규모 수요 발굴…시장 창출

입력 2017-12-28 10:37 수정 2017-12-28 13:19

스마트공항으로 2022년까지 출국시간 17% 단축…일자리 6천320개 조성
4차산업혁명위 3차 회의…드론 전용 비행장·스마트공항 구축안 마련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스마트공항으로 2022년까지 출국시간 17% 단축…일자리 6천320개 조성
4차산업혁명위 3차 회의…드론 전용 비행장·스마트공항 구축안 마련

5년간 드론 3천700대·3천500억원 규모 수요 발굴…시장 창출

정부가 글로벌 수준의 드론 인프라 구축을 위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을 조성한다.

또 스마트공항 구축 종합계획을 추진해 2022년까지 출국 수속시간을 17% 줄이고 신규 일자리도 6천320개 창출할 계획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8일 오전 광화문 KT 12층 회의실에서 제3차 회의를 열고 '드론 산업 기반 구축방안'과 '스마트공항 종합계획' 등 안건을 논의, 이같이 결정했다.

◇ 드론 산업 기반 구축

정부는 4차산업혁명 시대 신성장 동력으로서 드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 산업 생태계 조성 ▲ 기술 개발 ▲ 시장 창출 지원 ▲ 글로벌 수준 인프라 및 안전한 운영환경 조성 등을 추진한다.

국제 수준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범사업 공역에 이착륙장과 통제실, 정비고 등 인프라를 갖춘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을 내년에 2개 등 순차적으로 조성하고, 전남 고흥에는 항공기급 무인기의 성능·인증 시험을 위한 국가종합비행시험장을 2020년까지 구축한다.

본격적 무인항공 시대 진입을 위해 드론의 등록과 이력 관리부터 원격 자율·군집 비행까지 지원하는 '한국형 케이-드론(K-Drone) 시스템'을 개발·구축하고 세계시장 진출에 도전한다.

이를 통해 AI(자동관제), 빅데이터(기형·지상정보·비행경로 분석), 5G기반 클라우드(실시간 드론 위치 식별·공유)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적용한 첨단 자동관제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구현한다.

다양한 유형의 드론 운영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무게·용도 구분 방식에서 성능과 위험도 기반으로 드론 분류기준을 정비하고 각 유형에 따라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제를 차등 적용한다.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한 드론 등록·비행 승인 등 쉽고 편리한 대국민 서비스를 구축해 등록부터 운영, 말소까지 드론 정보를 데이터화한 전생애 주기 관리체계를 구현한다.

사업용 드론 시장 성장을 위해 초기시장 창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공공분야에서 먼저 향후 5년간 3천700여대(3천500억원 규모)의 수요를 발굴해 드론을 도입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중 드론 운영이 활성화되고 있는 선도기관을 분야별로 지정해 유사업무 수행기관 및 지자체, 민간 등으로 효율적 드론 운영 모델을 빠르게 확산시킬 방침이다.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상업용 드론시장 진출을 위한 상용화 기술을 확보하는 한편으로 원천기술, 미래형 개인 비행체(PAV) 등 미래 핵심기술 개발에 나서 세계 5대 기술강국(현재 7위권)으로 도약한다.

급성장이 예상되지만 절대 강자가 없는 사업용 드론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 상용화, 인력 양성 등도 집중 지원한다.

◇ 스마트공항 구축 종합계획 추진

여객 프로세스에 국한된 공항 서비스 개선이 아닌 여객의 전 여행경로, 공항 운영 전반을 개선하기 위해 공항에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을 접목하는 스마트공항 구축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공항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공항까지 이동을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하고, 탑승 수속시간 단축을 위해 탑승수속·보안검색 과정을 첨단화한다. 스마트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 맞춤형 공항시설 안내 서비스도 제공한다.

빅데이터를 통해 여객 흐름을 예측해 효율적으로 공항 여객을 분산시키는 등 공항 운영 효율화에도 나선다.

공항은 신기술 시험장이 돼 체감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며, 공항이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주요 수요자로서 국내 기업 육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여객에게 VR 등의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난다.

스마트공항 추진으로 2022년까지 출국 수속시간을 17% 줄이고, 공항 확충 비용도 연간 2천억원 절감한다. 신규 일자리도 6천32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와 공항공사는 이번 계획을 토대로 스마트공항 추진을 위한 세부 과제들을 이행하고, 더 나아가 한국형 스마트공항의 해외 진출도 추진한다.

내년에 항행시설 점검용 드론(1월, 김포)과 외곽 경비용 드론(2월, 인천)을 도입하고, 하반기에는 인천공항 제2터미널과 장기주차장 간 자율주행 셔틀도 운행할 예정이다.

국내선 탑승 시 지문으로 신분증을 대체하는 생체인식 기반 탑승 수속 자동화도 내년 1월부터 김포와 제주 공항에서 시행된다.

스마트공항 구축을 위한 안정적 재정 지원 및 기술 개발과 유관기관과 원만한 협조를 위해 스마트공항 종합계획의 '법정 계획화'도 추진한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드론 배달 위한 입체 주소 나온다…내년부터 개발 착수 "2025년까지 일자리 55만개"…혁신성장동력 13개 선정 문 대통령 "한중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 개시…교역문턱 낮춰야" 축구장 2개 넓이를 10분 만에 끝낸다…'드론 방역' 주목 바닷길 4㎞ 날아서 5분 만에 섬마을 배달…'드론의 진화'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