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당근·채찍 준비했지만…해외재산 자진신고 효과는?
입력 2015-09-02 08:2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URL 줄이기 레이어
닫기
[앵커]
정부의 이번 조치는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고 부족한 세수도 확보하겠다는 것일 텐데요, 효과가 있을지는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장정훈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내국인의 해외 은닉재산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87조 원가량 될 것이란 국제조세협회의 추정만 있을 뿐입니다.
5000억 원의 세수 증가 효과도 우리와 경제규모가 비슷한 호주가 그랬다는 것일 뿐 우리 세수가 실제로 그만큼 늘지는 미지수입니다.
특히 거액의 은닉재산은 더 깊이 숨고 소액의 탈세 사례만 신고될 경우 증세효과는 미미할 것이란 지적입니다.
이런 상황을 모를 리 없는 정부가 이번 정책을 내놓은 건 매년 세수부족이 심각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박근혜 정부는 증세 없는 복지를 내걸고 지하경제 양성화를 추진했지만 별 소득이 없었습니다.
[김정식 교수/연세대 경제학부 : 이번 조치는 세수를 늘리는 데는 크게 그렇게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정부는 당근과 채찍을 내세워 세수 증대를 장담하고 있지만, 해외 곳곳에 깊숙이 숨은 재산을 얼마나 찾아낼 수 있을지 결과가 주목됩니다.
관련
기사
법인차에 '제동' 걸었지만…법률개정안 과연 통과될까
여야, '특수활동비' 두고 공방 치열…본회의 불투명
"부시도 트럼프도 틀렸다. 앵커 베이비는 잘못된 단어" NYT
야당, 총선 실무 준비 돌입…'정책플랫폼'도 곧 공개
촬영
김준택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밀착카메라] '목숨 걸고 가는' 다리 밑 화장실…20년 방치
영상취재팀 김준택 촬영기자입니다.
이메일
이전 취재기자 보기
다음 취재기자 보기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