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팩트체크] '메르스 병원' 비공개 논란…해외 사례는?

입력 2015-06-02 22:0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거리에서 만나본 분들은 100% 병원 이름을 밝혀야 된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거 좀 오늘(2일) 굉장히 문제를 팩트체크에서 다루게 됐는데. 정부가 메르스 관련 병원을 의료진에게만 공개하겠다 이런 방침을 정했죠. 그런데 보시는 것처럼 아무튼 정보가 많이 부족하다고 시민들이 느끼시는 것 같습니다. 홍콩에서도 이 병원들의 이름을 밝히라고 요구하고 나섰는데, 의료기관을 공개하는 게 맞는지 아닌지 오늘 팩트체크에서 짚어보겠습니다.

김필규 기자, 그러니까 정부에서는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던 병원, 그리고 환자가 다녀간 병원을 일절 공개하지 않고 있는 거죠?

[앵커]

거기에 이번에 메르스 국가지정 격리병원이 된 곳도 공식적으로는 비공개로 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메르스 발생과 상관없는 시기에 방문한 환자나 여기서 일한 의사, 간호사가 불필요하게 오해받거나 지나치게 걱정할 수 있으니 공개를 안 하겠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하지만 의료계 일각에서는 "이미 3차 감염자까지 나온 마당에 무슨 소리냐, 총체적 난국인 만큼 일반에 공개해야 오히려 국민의 걱정을 덜 수 있다." 또 "그래야 해당 병원을 다녀온 뒤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의심 환자가 스스로 신고를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이유로 공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런 감염 질환의 경우 발병 병원 공개를 하느냐 안 하느냐에 대한 어떤 가이드라인이 있습니까?

[기자]

법규정상의 특별한 가이드라인은 없고, 다만 그 부분에 대해 정부 관계자가 직접 설명한 내용이 있는데 들어보시죠.

[권준욱 기획총괄반장/중앙메르스대책본부 : 에볼라 때 보시다시피 미국의 경우에도, 또 선진국의 경우에도 구체적으로 국가 격리 병상이나 이런 경우는 일부 예외로 하더라도 (지역이나 병원명을) 그렇게 구체적으로 직접 밝히는 경우가 많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앵커]

많지는 않다. 그렇다면 밝히는 경우도 있다는 얘기가 돼 버리는데 어떻게 됩니까, 실상은?

[기자]

밝힌 적도 있고 밝히지 않은 적도 있다, 미국에서. 이 이야기는 일단 맞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문제 됐던 지난해 미국 조지아주에서는 6개 병원을 에볼라 치료센터로 지정했는데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고, 하와이 주 보건국도 치료센터 4곳을 두면서 비공개로 했습니다.

"일반 주민들이 이들 병원을 외면할까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비공개 이유를 밝혔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발생 병원 이름을 밝힌 경우는 언제입니까?

[기자]

역시 에볼라 때였는데요. 작년 9월 미국 내 첫 에볼라 확진 환자였던 토머스 에릭 던컨의 경우 텍사스 건강장로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게 공개됐고, 그를 치료하다 감염된 이 병원 간호사 2명은 각각 메릴랜드의 국립보건원(NIH) 치료센터, 에모리대학병원으로 이송돼 완치되는 전 과정이 모두 공개됐습니다.

특히 미국에선 작년에 2명의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는데, 이때 어땠는지 관련 화면 보시죠.

[돈 페스코/미 인디애나주 먼스터시 커뮤니티 병원 CEO (2014년 5월 5일) : 지난 5월 2일 금요일, 미 질병통제예방센터와 인디애나주 보건국은 미국의 첫 메르스 확진 사례에 대해 알려드리기 위해 합동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첫 번째 확진 환자는 지금 이곳 먼스터시 커뮤니티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앵커]

병원에서 아예 공개를 해버렸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당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에서는 일반 대중과 의료진, 보건당국을 위한 메르스 최신 정보와 지침이라고 해서 정기 자료를 냈는데, 확진자가 머물렀던 동선과 진료받은 병원, 치료 경과를 자세히 공개했습니다.

또 우리에게 발병 병원을 공개하라고 요구한 홍콩의 경우에도 2003년 사스가 발생했을 때 병원 이름을 모두 밝혔고 그래서 당시 WHO는 "홍콩 정부가 처음부터 정직하게 충분한 정보를 대중과 미디어에 공개했다", 바이러스가 대형 전염병으로 퍼지는 것을 막았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정부에서는 지금 의료진에게만 이 병원 이름을 밝히겠다고, 알려주겠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따지고 보면 요즘 SNS 때문에 시중에는 병원 이름이 상당 부분의 경우에 다 돌아다니고 있는데. 그걸 공식적으로 확인을 못 해주겠다는 거죠, 당국에서는. 그런데 의료진의 책임감은 물론 믿기는 하지만 의료진한테 이것이 알려졌을 경우에 그러면 과연 일반에게까지 안 가겠느냐는 생각도 해 볼 수가 있겠네요.

[기자]

그랬기 때문에 재난보도준칙 상으로 이를 보도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언론들도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한 문형표 장관의 생각은 어떤지 관심 있게 지켜봤는데 들어보시죠.

[문형표 장관/보건복지부 : (병원명 미공개에 따른) 고민의 많은 부분들이 조금은 근거가 없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메르스라는 질병이 밀접 접촉을 통해서 비말을 통한 감염이 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환자가 거기에 있었다고 해서 병원에 가시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우려라고 생각을 하고요.]

[앵커]

'일반에는 공개를 할 계획이 없고, 어느 병원인지 알려고 하는 것 자체가 지나친 우려다' '그렇게 쉽게 옮는 것은 아니다' 이런 이야기군요.

[기자]

하지만 그 말에 얼마나 안심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인데요. 세계보건기구에서 전염병과 관련해 이런 커뮤니케이션 지침을 내놓은 게 있습니다.

"필요해지기 전에 미리 신뢰를 쌓아두는 게 훨씬 쉬운 방법이다"라는 건데, 외국 사례에서도 봤듯이 정부 판단에 따라 공개를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쪽을 택했든 우리 정부가 이 가장 중요하면서도 쉬운 방법(신뢰)을 놓쳤다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앵커]

팩트체크 김필규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팩트체크] 커지는 메르스 공포…어디까지가 진실일까 [청와대] 사망에 3차 감염에도…미온적 메르스 대책 청와대, 메르스 긴급 대책반 가동…24시간 비상근무체제 최경환 "메르스 차단에 국가 보건역량 총동원할 것" 문형표 "병원명 미공개에 따른 시민 우려, 근거 없다"
광고

관련이슈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