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탐사플러스] 남은 음식물 사료, 멸균·건조도 없이 그대로 농가에…

입력 2015-02-12 21:46 수정 2015-02-12 22:4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남은 음식물을 사료로 사용하는 데 따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해 보입니다. 그런데 정부는 어찌 된 일인지 본격적인 단속이나 처벌에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취재해 보니 그럴만한 속 사정이 있었습니다.

박소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주택가에서 남은 음식물 수거가 한창입니다.

[김명환/음식물 수거업체 위생담당 : 안성 사료 공장으로 가요. 일부는 동물 먹이고 나머지는 퇴비로.]

전국에 음식물을 사료로 만드는 시설은 110곳. 이 중 80%를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협조를 얻어 양계 농가에 사료를 제공하는 음식물처리 업체의 공장을 직접 들여다봤습니다.

이곳은 하루 20톤의 사료를 양계 농가에 무상으로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건조 과정이 없습니다.

물기가 빠지지 않은 걸쭉한 사료는 상하기도 쉽고 위생상 문제도 적지 않습니다.

업체 대표는 정부가 허가한 사업임을 강조합니다.

[음식물처리업체 관계자 : (농가들이) 사료값을 절감하기 위해서. 그렇게라도 처리함으로써 수도권 일대 음식물 또한 처리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수익성을 맞추다 보니 일부에선 위생처리를 하지 않는다고 털어놓습니다.

[음식물처리업체 관계자 : 저가로 받은 업체 같은 경우 아무래도 이윤을 창출해야 되는 게 그 사람들 생각이고 목적이기 때문에 약간 탈법 같은 것도 합니다]

비용이 많이 드는 공정을 영세한 민간에 맡기다 보니 멸균처리, 건조처리가 빠진 사료가 농가에 대량 공급되고 있는 겁니다.

[환경부 관계자 : (남은 음식물) 직접 매립이 금지되면서 '분리수거를 해서 재활용(사료화)을 하자'라고 한 건 2005년부터입니다.]

그나마 지자체가 운영하는 곳은 모두 건조과정을 거칩니다.

수원시는 100억 원을 투자해 몇 해 전부터 음식물 사료화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씻고 부수고 말려 멸균처리한 뒤 사료화하는 전 과정이 자동입니다. 위생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건조 공정에 비용이 집중됩니다.

[이재현/수원음식물자원화시설 운영소장 : (건조비용이) 전체 운영비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요. 다른 공정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거죠.]

건조 과정을 거치면 위생적으로 개선된 사료가 됩니다.

민간 업체에선 비용이 많이 드는 건조 과정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이재현/수원음식물자원화시설 운영소장 : 민간은 대부분 (남은 물기를) 해양 배출했습니다. 그런데 해양 배출이 금지되면서 톤당 단가가 많이 올라간 거죠.]

결국 정부가 이런 상황을 방치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해영/축산유통업 관계자 : 정부에서도 그 부분에 대해서 묵과할 수 있는 이유는 어느 한 공장이 문을 닫아 버리면 (음식물처리를) 못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정부가 남은 음식물 처리 비용을 아낀다며 사료화를 추진한 사이 양계 농가의 위생은 악화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탐사플러스] 특별법 뒤 성매매 더 확산…법 개정이 시급하다 [탐사플러스] 학교 앞 '포크레인 삽질'…아이들이 위험하다 [탐사플러스] 약으로 버티는 취준생…정신질환까지 호소 [탐사플러스] 낱개보다 비싼 1+1 상품…대형마트 눈속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