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다같이 비싸게 사는 '단통법' 시끌…미방위 십자포화
입력 2014-10-14 08:4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URL 줄이기 레이어
닫기
[앵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국감에서는 지난 1일부터 시행된 단말기유통법, 즉 단통법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법 시행으로 소비자만 봉이 되고 있다며, 보조금 상한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왔습니다.
성화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단통법의 발의했던 여당 의원도 단통법 시행 이후 소비자 부담만 되레 키웠다며 목소리를 높입니다.
[권은희 의원/새누리당 : 체감 통신비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건데요. (단말기) 모두가 다 (보조금이) 낮아졌어요. 높아진 것은 하나도 없더라고요.]
권 의원은 발의 당시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라고 고백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더해 삼성과 이통3사가 단말기 출고가를 부풀렸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공세 수위는 커졌습니다.
[우상호 의원/새정치연합 : 맨 밑의 네트 가격이 24만 원입니다. (대리점) 마진을 합친 가격은 29만 5000원이에요. 출고가격은 갑자기 94만 원으로 뜁니다.]
보조금 상한을 정해놓은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며 성토가 이어졌습니다.
[최민희 의원/새정치연합 : 경쟁을 유도해서 최소한의 경쟁 속에서 보조금이 정해져야지 정부가 고시로 정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소비자 부담을 줄이려면 현재 결합돼 있는 단말기와 요금제 판매방식을 따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 제기됐습니다.
관련
기사
보조금 묶였는데…휴대전화 공급가마저 'OECD 1위'
권은희 "단통법 이후, 보조금 60% 감소"
"한국 이동통신시장은 과점 형태…가격 착취 발생해"
한국 휴대전화 공급가 OECD 1위…국내 고객은 봉?
'아이폰6' 일본은 공짜, 국내에서는 60만 원대…왜?
취재
촬영
영상편집
성화선 / 정책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날씨] 밤부터 5mm 안팎 비소식…서울 한낮 25도
사회부에서 기자를 시작했습니다. 경찰 출입 기자를 거쳤습니다.
이메일
이동현 / 영상취재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경기 판세 막판까지 오리무중…"100~200표로 갈릴 수도"
내일을 위해 오늘을 기억하는 눈
이메일
강한승 / 영상편집팀 기자
|
해당 기자의 기사
구독신청
구독해지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 보기
:
"깎인 월급 받을 수 있나"…50대·퇴직자들 문의 빗발
강한승 편집기자입니다.
이메일
이전 취재기자 보기
다음 취재기자 보기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