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JTBC
[동영상 분석 ③] 선수 떠오른 이유? "평형수 탱크 안 공기 찬 듯"
입력 2014-04-28 21:4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URL 줄이기 레이어
닫기
[앵커]
세월호가 꼭 채워야할 만큼의 평형수를 확보하지 않았음을 의심할 수 있는 증거는 그동안의 사고 정황을 보면 곳곳에서 드러납니다. 저희들은 이 내용을 여러 명의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해서 확인해봤습니다.
정종훈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세월호는 침몰 후 며칠동안 선미가 먼저 가라앉은 채 선수는 떠 있었습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평형수를 보관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빈 공간에 물 대신 공기가 들어찼기 때문이라고 분석합니다.
또 세월호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뒤 180도 뒤집어져 가라앉았습니다.
배가 침몰할 경우 바닥에 있는 평형수의 무게 때문에 그대로 가라앉는 게 일반적이지만, 세월호는 평형수가 부족해 위 아래가 뒤집혔을 수 있다는 겁니다.
의도적으로 평형수를 뺀 정황은 배의 수면을 맞추는 흘수선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화물을 기준보다 많이 실을 경우 배가 무거워지면서 흘수선이 내려갈 수 밖에 없고, 이를 기준에 맞도록 올리기 위해선 결국 평형수를 덜어낼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의문들을 근거로 세월호의 평형수가 부족했고, 복원력을 잃으면서 침몰하게 됐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세월호의 과적을 확인한 수사본부는 실제로 짐을 더 싣기 위해 평형수를 줄인 건지
집중 조사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동영상 분석 ①] "9시 이전 복원력 상실…30도 이상 넘어간 듯"
[동영상 분석 ②] 흔들림 없던 배…"평형수 빼냈을 가능성"
사고 후 15분, 마지막 남긴 동영상…구조 시간 충분했다
[인터뷰] 고 박수현 군 아버지 "6시26분 난간 촬영, 전달할 게 있었던 듯"
[영상편지] 박종대 씨 "용서하거라, 보고싶은 아들아…"
관련
이슈
세월호, 잊지 않겠습니다
|
관련
VOD이슈
해경-언딘 유착 의혹
|
아이들이 지상으로 보낸 마지막 편지
|
해경, 민간 잠수사에 '비밀 서약서' 받았다
|
'세월호 참사' 왜?
|
'세월호 참사' 청와대-해경 녹취록 공개
|
상처만 남긴 세월호 기관보고
|
'오늘도 팽목항에서 시작합니다'
|
세월호 참사 100일…풀리지 않는 의혹들
|
국과수 발표에도 '유병언 시신' 의혹들
|
'유병언 찾기' 시간만 낭비한 합동수사
|
'어서 돌아와' 실종자 가족들의 이야기
|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