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코로나 시대' 넘치는 일회용품…재활용 대책, 어떻게 바뀌나

입력 2020-09-23 21:17 수정 2020-09-24 18:3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코로나19가 우리에게 남긴 숙제 가운데 하나가 쓰레기 문제입니다. 비대면 시대가 되면서 일회용품 같은 쓰레기양이 더 많아졌지요. 정부가 오늘(23일) 대책을 내놨습니다.

어떤 내용들인지, 또 효과가 있을지 윤재영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단독주택촌입니다.

골목마다 쓰레기가 보입니다.

종량제, 음식물 봉투, 재활용품 등 가리지 않습니다.

플라스틱과 유리, 캔도 함께 나옵니다.

쓰레기는 골목마다 쌓여있습니다.

여길 보면 페트병과 음식물이 묻은 포장용기가 함께 있고, 음식물이 담긴 비닐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분리도 어렵고 재활용도 힘듭니다.

재활용품 선별 업체도 골치입니다.

[업체 관계자 : 이게 쓰레기지 분리수거라 할 수 없잖아. 재활용이 안 되는 게 50%예요.]

정부는 이를 막기 위해 앞으로 요일별로 버릴 수 있는 쓰레기 품목을 정할 계획입니다.

다른 쓰레기와 섞여 오염되는 걸 줄이겠다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시민 협조가 뒤따라야 합니다.

그동안 아파트는 민간업체와 직접 재활용품 수거 계약을 맺어왔습니다.

가격 협상이 잘 안 되면 쓰레기 대란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습니다.

정부는 이것도 지자체가 직접 수거하도록 했습니다.

일반 쓰레기 수거도 크게 바뀝니다.

재활용이 되지 못하는 이런 쓰레기들은 태우거나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그대로 땅에 묻어야 합니다.

앞으로는 불에 타는 쓰레기는 반드시 소각 등 처리해 묻어야 합니다.

쓰레기를 재로 만들어 매립량을 줄이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선 소각장 같은 처리시설을 늘려야 하는데 특히 수도권 님비현상이 관건입니다.

[성낙근/한국폐기물협회 실장 : 방치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게 하려면 시설이 일단 충분히 있어야 되거든요. 서울에서 발생된 건 서울에서, 경기도는 경기도에서.]

정부는 2030년까지 현재 소각 처리시설의 절반가량이 더 생겨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영상디자인 : 배장근)

관련기사

폭우에 휩쓸린 생활쓰레기…호수·강·바다까지 '몸살' '비대면 소비' 급증에 쓰레기 포화…배출량 최대 29% 늘어 무심코 버린 쓰레기가 생사위협…과자 통에 머리 낀 곰 구조 [밀착카메라] 배달·택배 '비대면 소비'에…쓰레기 포화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