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지키고 싶었던 가치 있었다"…유승민의 길고 긴 13일

입력 2015-07-08 14:54

의총서 '사퇴' VS. '표결' 팽팽
사면초가 위기 속 결국 '사퇴' 선택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의총서 '사퇴' VS. '표결' 팽팽
사면초가 위기 속 결국 '사퇴' 선택

"지키고 싶었던 가치 있었다"…유승민의 길고 긴 13일


"지키고 싶었던 가치 있었다"…유승민의 길고 긴 13일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 발언으로 야기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가 8일 13일 만에 '불명예 퇴진'으로 끝을 맺었다.

박 대통령이 유 원내대표를 사실상 불신임하자 그는 "대통령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이기도 했지만 결국 자신이 지키고 싶었던 가치, 즉 '법·원칙·정의'를 지키지 못한 채 '사퇴'의 길로 접어 들게됐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이 사태의 발단이 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며 이례적으로 그간 자신이 느낀 정치권에 대한 불만을 '격앙된 어조'로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번 논란의 정점에 서있는 유 원내대표를 '여당의 원내사령탑'이라고 거론하면서 "정부 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 간다"고 겨냥했다.

박 대통령의 강경 발언을 접한 새누리당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위헌 소지가 있다'는 일부 의견이 있긴 했지만 당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심사까지 거쳐 여야 의원 211명의 압도적 찬성으로 국회법 개정안을 처리했기 때문이다.

친박(친 박근혜)계 의원들은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직후부터 유 원내대표에 대한 자진 사퇴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에 유 원내대표는 "최선을 다했다"며 애써 담담한 태도를 보였지만 이날 부터 친박계와 비박계 의원들이 물밑 접촉을 통해 그의 거취 문제를 두고 갑론을박을 이어나가자 고심이 깊어지기 시작했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직후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에 부치지 않기로 하고 유 원내대표는 사실상 '재신임'했다.

그러나 김무성 대표와 김태호 최고위원이 이날 의총 결과를 두고 유 원내대표의 거취가 아직 결론난 것이 아니라며 최고위와 논의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긴장감이 점차 고조되기 시작했다.

김 대표도 이날 의총에서 유 원내대표에게 박 대통령에 대한 사과를 권유했고, 유 원내대표는 고민 끝에 이튿 날 공개석상에서 "박 대통령에게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유 원내대표는 "대통령께서 국정을 헌신적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계시는데 여당으로서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한 데 대해 송구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의 사과에도 박 대통령의 불편한 심기에는 변함이 없었다. 청와대는 유 원내대표의 사과에 대해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진 않았지만 여전히 불쾌감을 거두지 않았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이 때부터 유 원내대표는 기나 긴 장고의 시간에 들어갔다.

그는 자신의 거취에 대한 입장을 전혀 밝히지 않은 채 당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고민을 거듭했다.

비박계 의원들을 비롯해 유 원내대표와 가까운 의원들은 "지금 물러나서는 안된다"며 그의 사퇴를 만류했지만 친박계는 '국회법 개정안 재의 부결'이 이뤄진 지난 6일을 사퇴 시점으로 설정해 그를 사방에서 압박했다.

당 최고위는 아울러 이례적으로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두고 두 차례 긴급 회의를 열었고, 7일 열린 회의에서 그의 거취 문제를 의원총회서 결정키로 했다.

유 원내대표는 자신의 거취를 결정하게 될 8일 의총을 앞두고 장시간에 걸쳐 사퇴관련 입장문을 직접 작성했다는 후문이다.

결국 새누리당은 이날 의원들이 직접 선출한 원내대표의 거취를 결정하는 사상 초유의 의총을 열어 '사퇴권고'를 결정했고, 그는 결국 '자진 사퇴'를 택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