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대출심사 강화에 저축은행만 호황…위험한 가계대출 급증

입력 2016-09-11 20:56 수정 2016-09-11 21:0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가계 빚 문제 때문에 정부는 시중은행의 대출 문턱을 높혔는데요. 이렇게되면 은행에서 돈을 못 빌리는 사람들이 오히려 저축은행으로 가지 않겠냐, 이런 우려가 있었지요. 그 풍선효과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결국 저소득층은 몇 배 더 비싼 이자를 내면서 돈을 꾸는 상황인데요. 정부의 가계빚 대책으로 엉뚱하게도 저축은행만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새누리 기자입니다.

[기자]

16조 7000억 원. 7월 말 현재 저축은행 가계대출 규모입니다.

5년 전 10조 원을 웃돌다 증가세가 진정되는 듯 했지만, 지난해부터 다시 늘기 시작해 16조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올해는 증가 속도가 더 빨라졌습니다.

지난 7월에는 6000억원이 늘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한 달 최대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저축은행 대출이 폭증한 건 2월부터 시중은행의 소득 심사가 까다로워졌기 때문입니다.

저축은행 대출은 심사가 덜 까다로운 대신 금리가 높습니다.

현재 2%대 후반에서 3%대 초반인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3배 안팎입니다.

저소득층과 저신용자가 생활에 필요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 저축은행에 몰려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저축은행은 때 아닌 호황을 맞았습니다.

2011년 프로젝트 파이낸싱 금융 부실로 무더기 영업정지 사태를 겪으면서 저축은행 숫자는 100여개에서 79개로 줄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수익이 좋아지면서 올 상반기 당기순익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지금부터입니다.

부동산가격 하락과 경기 악화 등 우리 경제가 충격을 받을 경우 경기에 민감한 취약층의 대출 부실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거기다 연내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대출금리가 도미노처럼 인상돼, 대출자의 이자 상환 부담은 커지게 됩니다.

정부는 10월쯤부터 2금융권도 깐깐하게 심사하도록 할 계획이지만, 이미 늦었다는 비판이 적지 않습니다.

관련기사

돈 빌리기 어렵게 깐깐해질 대출심사…가계 빚 잡을까 풍선효과로 질 나빠진 가계부채…총 부채는 1300조원 육박 '팍팍한 살림에'…'마이너스 통장' 대출도 급증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