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은 "한·일 통화스왑 23일 만료…금융경제여건 개선"

입력 2015-02-16 17:4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아시아 외환위기의 여진이 역내에 남아 있던 지난 2001년 첫 체결된 한·일 양국간 통화스왑 협정이 이달 말 마침표를 찍는다.

유로존 재정위기 등 금융시장 불안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잇달아 체결된 양국간 통화스왑 협정은 이에 따라 단 하나도 남지 않게 됐다.

한국은행은 16일 한일 양국의 재무당국·중앙은행이 오는 23일 통화스왑 협정 만료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종료되는 통화스왑 협정은 100억 달러 규모로, 지난 2001년 아시아 역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태국 치앙마이에서 합의한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의 일환으로 두나라간에 체결된 것이다.

한·일 양국이 역내 금융 시장 불안 확산 때 원·엔 등 자국 통화를 상대국 달러화와 맞바꾸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서정민 한은 국제금융협력팀장은 "이번 계약은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 역내 금융 안정을 기하기 위해 출범한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의 일환으로 이뤄진 것"이라며 "원래 규모는 20억 달러였다"고 설명했다.

이 통화스왑 계약은 당초 20억달러에서 출발해 이후 100억달러까지 규모를 늘렸으나, 이번에 계약이 종료되게 됐다.

양국간 통화스왑 협정 종료는 ▲한국정부의 경상수지 흑자 확대 등 금융경제 여건 개선 ▲아베 정부 출범 이후 경색된 양국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지난 2012년 12월 아베 정부 출범 이후 위안부 문제를 놓고 양국 관계가 급랭한 가운데, 지난해 우리정부의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자 양국간 통화 스왑 협정이 종료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 왔다.

서 팀장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는 금융위기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데, (우리나라의) 최근 금융경제여건을 볼 때 더 이상 통화스왑협정을 연장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양국은 이외에도 유로존 재정위기가 확산되던 지난 2011년 10월19일 기존 스왑 규모를 700억 달러로 확대하는 내용의 통화 스왑 협정을 맺었는데, 이 통화스왑 계약도 작년 7월에 만료된 바 있다.

한은은 앞서 지난 2008년 10월30일 미 연방준비제도와 300억 달러의 통화스왑협정을 체결했고, 중국과도 2011년 10월26일 스왑규모를 260억 달러에서 560억 달러로 확대한 바 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