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2003년 '첫 삽' 뒤 굴곡의 13년…개성공단 존폐 기로

입력 2016-02-11 08:1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13년 만에 폐쇄 위기에까지 놓인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과 함께 남북 경제협력의 상징이었습니다. 남북관계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 곳이었지만, 이후 북한의 도발이 이어질 때마다 이에 대한 제재 조치로 개성공단 얘기가 빠지지 않았었는데요.

박영우 기자가 그간의 위기들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기자]

2003년 6월 첫 삽을 뜬 개성공단. 이듬해 15개 회사가 처음 입주한 뒤, 현재 개성공단에는 우리 기업 124곳이 가동 중입니다.

대부분 섬유와 기계금속을 취급하는 중소기업들입니다.

북한 근로자 5만여 명이 일하고 있고 지난해에는 사상 처음으로 생산액 5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10여 년 세월 동안 개성공단은 크고 작은 폐쇄 위협을 받아왔습니다.

처음으로 문제가 불거진 것은 지난 2008년. 김하중 전 통일부 장관이 "북핵문제 타결 없이는 개성공단 확대가 어렵다"고 발언한 것을 빌미로 북측이 남북경제협력사무소의 남측 당국자 철수를 요구했습니다.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그해 11월 북한이 체류 인력을 880명으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이른바 12·1 조치를 발표해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이후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이 발발했을 때도 개성공단은 협상 카드로 등장했습니다.

가장 큰 시련은 2013년 찾아왔습니다.

북한이 3차 핵실험 이후 개성공단을 일방적으로 폐쇄하면서 160일 동안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이번 우리 정부의 전면 중단 조치로 개성공단은 다시 한 번 존폐 기로에 서게 됐습니다.

관련기사

"개성공단 가동 중단"…남북관계 마지막 연결고리 끊어 개성공단 근로자 184명 체류…철수 절차 시작 정부 초강경 조치…개성공단 돈줄 끊으면 북 도발 멈출까? 개성공단 중단 피해액 수십억…보상책 있지만 역부족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