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비하인드 뉴스] "산불 정부" 발언으로 정치공세? 김문수의 불장난

입력 2019-04-07 21:44 수정 2019-04-08 15:5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비하인드 뉴스 시간입니다. 이성대 기자 나와 있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 볼까요.

[기자]

첫 번째 키워드 보겠습니다. < 김문수의 불장난 >

[앵커]

김문수 우리가 아는 정치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 이야기입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우리가 아는 그 정치인 이야기인데요.

오늘(7일) 페이스북에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습니다.

뭐라고 썼냐, 촛불정부인 이번 정부 촛불정부인 줄 알았더니 산불정부다, 촛불을 좋아하더니 온 나라에 산불이 붙었다 이런 식으로 조롱에 가까운 글을 올려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가 앞서도 비하인드 뉴스에서 전해 드린 바가 있는데 이 며칠간 전 국민은 가슴을 졸이면서 산불이 꺼지기를 지켜보고 있었는데 좀 지나치게 산불을 정쟁의 어떤 도구로 이용하는 그런 모습은 눈살을 찌푸리게도 하지 않았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참고로 말씀하신 것처럼 비하인드뉴스에서 전달을 해 드렸었죠.

민경욱 대변인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왜 이렇게 지금 불이 많이 나느냐라는 글을 올렸다가 논란이 되자 삭제를 했습니다.

오늘 김문수 전 지사가 얘기했었을 때 보시면 촛불을 좋아하더니 온나라에 산불이다라고 썼는데 이 모두가 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 산불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그러다 보니까 국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라는 식의 어떤 프레임들을 깔고 있다, 이런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정부 들어서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라는 프레임, 이렇게 이야기를 했는데 어떻습니까, 실제로는?

[기자]

좀 찾아봤더니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근거가 없습니다.

산림청의 자료를 찾아보시면 최근 10년 동안의 산불 발생 건수입니다.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인데 참고로 2018년은 아직 통계가 나오지 않아서 17년까지가 최신 자료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를 거쳐서 경향성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좀 들쭉날쭉한 상황인데요.

따라서 과거 정부보다 문재인 정부가 많았다라고 보기는 힘들고 물론 보시는 것처럼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을 때는 가장 많은 700여 건에 가까운 산불이 나기는 했지만 이것 역시 월별로 분석을 해 보면 1월부터 4월까지 조기 대선 이전에 황교안 대통령 대행체제였을 때 산불이 좀 더 많이 났기 때문에 이 통계만 보실 때는 현 정부에서 불이 많이 났다라고 보기에는 쉽지가 않다, 이런 분석이 있습니다.

[앵커]

일단은 이성대 기자가 직접 팩트체크를 해 본 셈이군요. 지난해 통계도 나오면 더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겠지만 일단은 이제 현 정부 들어서 산불이 증가됐다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그런 이야기군요.

[기자]

그럼에도 한국당 일각에서는 이번 산불이 탈원전 때문이다라는 얘기까지 하고 있는데 뭔가 정치공세가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눈에 띄는 거는 오늘 김문수 전 지사의 페이스북에 보면 이런 글도 올렸습니다.

강원도뿐만 아니라 나의 고향 경북 영천에서도 제 평생 처음으로 산불 보도가 됐다, 그동안 없던 산불이 났다라는 얘기죠.

이 역시 현 정부 들어서 산불이 증가에 따른 일종의 프레임을 강화하려는 근거로 보이는데 하지만 좀 찾아보시면 지난해 경북 영천에서 산불, 그 전년도도 산불, 좀 더 멀리가시면 2010년, 2009년 김문수 전 지사가 여당 시절이었던 시절에도 이렇게 산불이 났습니다.

또 참고로 지난해 자료를 좀 찾아보시면 시도별로 산불 피해가 가장 많았던 지역, 피해가 가장 심했던 지역 1위부터 쭉 나오는데 9위가 경북 영천, 김문수 전 지사의 고향이었습니다.

이렇게 산불도 자주 나고 피해도 컸음에도 불구하고 내 고향에서 산불이 난 적이 없다라고 얘기하는 거는 의도적인 왜곡이거나 아니면 그동안 고향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었다, 이렇게밖에 해석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어제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산불 진화가 끝날 때까지 완료될 때까지 각 당에 어떤 쟁쟁을 멈추자 이런 얘기를 하지 않았습니까? 하루 만에 또 이런 이야기가 나왔는데 산불이 다 진화가 돼서 나온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 키워드 볼까요.

[기자]

두 번째 키워드 보겠습니다. < 누가 소방관을 붙잡았나 >

[앵커]

지금 전국적으로 소방관들이 영웅으로 떠오른 그런 상황인데 어떤 이야기입니까, 누가 붙잡았습니까?

[기자]

이야기는 뭐냐 하면 일단 오늘 같은 경우에 이런 사진이 또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산불을 끈 다음에 전국 각지로 돌아가는데 이렇게 고속도로 게시판에 소방관님들 고생했습니다라는 사진이 또 화제가 되고있는데.

[앵커]

보통은 교통정보가 나오는 이 전광판에 이렇게 이런 글자를 넣은 것이군요.

[기자]

이런 식으로 지금 벌써 소방관들에 대해서 상당히 감사하는 마음들이 커지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소방관의 국가공무원직 전환을 해야 한다라는 의견들이 많이 커지고 있고.

실제로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지금 직전에 확인해 봤더니 15만 명 이상이 동의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15만 명이요.

[기자]

그렇습니다. 소방직 공무원의 국가직 전환은 지난 대선 당시 문 대통령을 비롯해서 대부분의 후보들이 공약했던 사안입니다.

[앵커]

소방관 처우개선도 목적이지만 이번처럼 큰 전국 단위의 어떤 불이 났을 때 큰 불이 났을 때 기민하게 효율적으로 출동하기 위해서는 국가직으로 전환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겠다, 그런 이야기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최근에 엊그제였죠.

산불 났을 때 가장 국민들이 감동했던 이 장면이 있죠.

속초로 향하는 영웅들이라는 이 CCTV 장면이었는데.

이거 보시면 지방직이라서 이렇게 전국에서 차출을 하려면 지자체장들에게 일일이 요청을 해야 됩니다.

그러다 보니까 정문호 소방청장이 일일이 감사한다까지 이례적으로 이야기를 한 것도 다 이런 것 때문인데.

[앵커]

시도지사들에게 감사드린다고 얘기한 거요.

[기자]

그렇습니다. 소방관들에게도 감사하고.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지방직으로 분류가 돼 있다 보니까 화재 대응이 늦을 수도 있고 또 조직의 효율성도 떨어질 수 있다라는 이야기.

그래서 국가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또 하나 일부 지자체장들이 어떤 불필요한 군기 잡기 같은 걸 하는 경우도 있다라는 건데 대표적인 논란 한번 듣고 가시죠.

[어 아니 지금 내가 도지사라는데 그게 안 들려요]

[무슨 일 때문에 여기다 전화를 하셨는데요. 소방서에다 119로 지금 긴급전화를 하셨잖아요. 그러면 무슨 일 때문에 전화를 하셨는지 얘기를 하셔야죠.]

[아니 도지사가 누구냐고 이름을 묻는데 답을 안 해.]

[앵커]

김문수 전 지사가 또 등장을 했군요. 이게 그 당시에 왜 지자체장이 소방관에게 전화를 걸어서 저런 일이 있었을까 했는데 지방직이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군요. 국가직이 되면 이런 일은 없어질 것 같은데 그런데 이 여야 쟁점 법안은 아닌 것 같습니다. 왜 통과가 안 되고 있는 거죠?

[기자]

일단 지난해 11월 소관 상임위였죠,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소위 통과 직전까지 갔다가 무산이 됐습니다.

나온 보도로는 정족수가 미달됐다고 나왔었는데 당시 한국당이 급제동을 걸었다는 것이 민주당의 이재정 의원의 주장입니다.

한번 들어보시죠.

[이재정/더불어민주당 의원 (CBS 라디오 / 지난 1월 8일) : (소위에서) 통과되기 직전이었는데 자유한국당 한 의원님(윤재옥 당시 원내수석부대표)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그냥 다른 이유 없이 일단 보류하라고 하는 바람에 사실상 그날 소방관 국가직화 관련 법안이 통과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했죠.]

[앵커]

왜 보류를 했다는 것입니까?

[기자]

일단 이재정 의원의 말로는 당시 한국당의 원내 전략사항이 아니겠느냐, 전략 차원이 아니겠느냐라고 설명했는데 좀 들어보려고 윤재옥 의원한테 통화해 봤는데 아직까지 연결은 안 됐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번 대형 산불 계기로 국가직 전환이 왜 필요할지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왔으니까 이 부분 어떻게 진행이 될지 지켜봐야지 될 것 같습니다. 
 
(화면출처 : 보배드림)

관련기사

미군 헬기도 투입해 잔불 정리…'재건' 필요한 피해지역 문 대통령 "특별재난지역 검토"…대피소 찾아 이재민 위로 주택 160여채 산불에 타…시설물 피해 컸던 이유는? 강원 산불 '특별재난지역' 선포…생계비 등 국비 지원 비상사태 속 국회 발 묶인 국가안보실장…야 "심각성 몰랐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