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비정규직 월급 164만원…정규직의 절반 수준

입력 2018-10-30 13:03

정규직보다 136만원 적어…비정규직 임금 증가에도 절대격차 커져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정규직보다 136만원 적어…비정규직 임금 증가에도 절대격차 커져

비정규직 월급 164만원…정규직의 절반 수준

시간제·기간제 등 비정규직 임금이 여전히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8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6∼8월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55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5.3% 증가했다.

이 중 정규직은 300만9천원으로 1년 전보다 15만8천원(5.5%) 늘었다. 전년 증가폭(1.9%)보다 크게 확대된 것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비정규직은 164만4천원으로 7만5천원(4.8%) 늘었다. 이런 증가율은 전년(4.7%)과 비슷한 수준으로 역대 세 번째로 높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136만5천원으로 전년(128만2천원)보다 8만원가량 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절대적인 임금 격차는 여전히 커지는 추세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 비율도 54.6%로 전년(55.0%)보다 소폭 하락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정규직 임금 베이스가 비정규직보다 높기 때문에 같은 비율로 늘어도 임금 차이는 크게 나타난다"라며 "임금 증가 폭은 산업별 구조 등 변수가 있어 명확하게 설명하기 쉽지는 않다"라고 말했다.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근로자는 53.0%로 1년 전보다 3.0%포인트 상승했다. 사유로는 '근로조건에 만족'(53.8%)이 가장 높았다.

비정규직의 비자발적 선택 사유로는 '당장 수입의 필요'가 75.8%로 가장 많았다.

임금근로자의 현 직장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6년 1개월로 1년 전보다 2개월 늘었다. 정규직은 7년 9개월, 비정규직은 2년 7개월로 각각 2개월, 1개월 증가했다.

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건강보험 75.5%, 국민연금 69.8%, 고용보험 71.6%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1.3%포인트, 0.7%포인트, 0.4%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비정규직의 건강보험 가입률(45.9%)은 0.6%포인트 상승했지만 국민연금은 1년 전과 동일(36.6%)했고 고용보험(43.6%)은 0.5%포인트 하락했다.

임금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 비율은 12.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가입률은 각각 17.1%, 3.1%였다. 가입 가능자 중 가입 비율을 보면 정규직은 68.3%, 비정규직은 60.4%였다.

임금근로자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8.4%(167만5천명)로 1년 전보다 3.2%포인트 상승했다.

유형별로 보면 시차출퇴근제가 33.2%로 가장 많았고 선택적 근무시간제(32.3%), 탄력적 근무제(27.3%), 근로시간 단축근무제(15.1%) 순이었다.

임금근로자의 임금 지급 형태는 월급제가 60.9%로 가장 많았고 연봉제(17.7%), 시급제(8.6%) 등이 뒤를 이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6.6시간으로 1년 전보다 1.5시간 감소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곽상도 "대학병원도 고용세습 의혹…임직원 친인척 110명" '촛불집회 2주년' 진보·보수단체 서울 도심집회 잇따라 열려 원칙 없는 정규직화?…본사 아닌 자회사 편입 '처우 열악' 입사후 4개월만에 정규직으로…부산대병원 친인척 채용 논란 박원순 "비정규직 정규직화, 무임승차라 손가락질할 수 있나"
광고

JTBC 핫클릭